[경상매일신문=권호경기자]더불어민주당 내에서 2021년 전당대회 불법 정치자금 의혹 관련 이름이 오르내리는 이들에 대한 출당 등 고강도 조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현재까지 탈당, 출당론은 소수 견해로 보이지만, 사태 장기화로 당 부담이 커질 경우 관련 주장이 탄력 받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모습이다. 18일 민주당 일각에선 의혹 관련 후속 조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들리고 있다. 이 대표 메시지 등 최근 당 차원 조치 수위에 대해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송영길 전 대표 조기 귀국에 대해선 대체로 당 내 견해가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자체 조사를 않기로 한 결정을 두고선 이견이 존재하는 모양새다.한 초선 의원은 "당 차원 진상 규명에 나서는 게 적절하다고 본다"면서 "결정이야 지도부 차원에서 하는 것이지만 신뢰 회복이 절실하다고 격앙되어 있는 게 현장 분위기"라고 전했다.일부 비명(비이재명) 등 강경 대응 필요성을 말하는 쪽에선 당 차원의 단호한 조치가 요구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출당, 탈당까지 고려할 수 있단 주장까지 오르내리는 분위기이다.비명으로 분류되는 한 재선 의원은 "출당 조치는 지도부 의지 문제"라며 "지도부가 하지 않으면 여론 또는 다른 의원이 목소리를 내야 하는데 동료 의원에게 탈당하란 소리를 낼 수 있겠나"라고 했다.또 출당, 탈당 권유 현실성에 대해선 "당 지도부가 결단을 내리고 권유하거나 요구해야 하는 것이고, 그런 것을 하라고 지도부가 있는 것"이라며 "만약 필요 없다고 생각하면 왜 필요 없는지를 얘기해야 한다"고 말했다.이와 함께 "이번엔 탈당하게 되면 총선에 나가기가 어려울 수 있어 의원 개인에겐 타격이 클 것"이라며 "그래서 알아서 나가면 모를까 지도부가 조치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김종민 의원은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 인터뷰에서 관련 질문에 "보통 이런 문제가 생기면 일단 당직에서 빠는 경우가 있고 그 다음에 탈당하거나 자진 탈당을 권유하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또 "전에 송영길 대표가 부동산 거래 관련 의혹이 터졌을 때 사실관계가 확인되기 전 의혹이 불거진 상태에서 의원들에게 자진탈당 권유를 했었다"고 더했다.   아울러 "실제로 예전에 어떤 의원은 인턴을 자기 친인척으로 썼다고 해 자진 탈당해 무죄를 받고 결정된 다음 다시 입당한 적이 있었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이런 과정들을 보면 정당이라고 하는 건 사법적 결론이 났을 때 움직이는 건 안 맞다고 본다"고 말했다.나아가 "기본적으로 의혹이 있거나 신뢰가 흔들리게 되면 거기에 맞는 신회 회복 조치를 해줘야 정당이 기능할 수 있다"고 더했다.민주당 지도부 측에서 현재까지 관련자 출당, 탈당 권유 등 조치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지는 않는 것으로 읽힌다. 다만, 향후 국면에 따라 고려 소지도 완전히 배제할 순 없어 보인다. 실제 박홍근 원내대표는 `결과에 따른 상응 조치`를 언급하면서 가능성을 열어 놓는 발언을 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송 전 대표 출당 가능성에 관한 취재진 질의에 "지금은 지켜보는 게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그러면서도 "송 전 대표가 파리에서 내놓을 입장을 지켜보고 국민이나 당이 납득 어렵고 수용 어려운 부분이 있으면 맞춰 얘기해야지 앞서 얘기할 수 있는 건 아니다"고 했다.의혹 관련자로 거론되는 다른 이들에 대한 조치를 두고서도 "아직은 사실관계에 대해 달리 얘기하는 부분도 있고 검찰 수사도 진행되고 있다"며 "지켜봐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했다.또 수사 과정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면서 "현행법 위반, 당헌당규 배치 행동이 있었다면 상응 조치를 취하는 건 공당으로서 마땅한 책무"라고 말했다.이와 함께 "저는 시점의 문제라기 보다는 결국 결과가 어떻게 나오는지에 따라서 상응 조치는 불가피할 것으로 본다"고 부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