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종태기자]포항시 음식물쓰레기 신규 처리시설 부지 선정을 두고 주민 반대에 부딪치며 처리시설 건립이 기약없이 지연되고 있다.이에 따라 음식물쓰레기 전량(1일160톤)을 외부에 위탁처리하고 있는 포항시로서는 운송비 및 음식물폐수 처리비 등 수십억원의 혈세가 낭비되고 있다.포항시에 신규시설이 좀더 일찍이 건립됐다면 구태여 연간 20억원 상당의 운송비를 타 지역업체에 지급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더구나 100여억원의 막대한 혈세를 들여 건립된 포항시음식물쓰레기폐수처리장(음폐수처리장)이 버젓이 있는데도 음식물쓰레기를 외부에 위탁처리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 또한 예산낭비를 가중시키고 있다.2020년 6월까지는 1일 54톤의 음폐수를 포항에서 자체 처리했지만 지금은 음식물쓰레기 전량을 외부에서 위탁처리하고 있어 포항시 음폐수처리장은 반쪽자리 시설로 전락하고 있다.더욱 큰 문제는 위탁업체에서 처리물량이 넘쳐 제때 처리하지 못하면 포항시가 음식물쓰레기 대란사태에 직면할 우려가 높다는 점이다.포항시에 따르면 신규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은 종전의 사료화방식이 아닌 혐기성소화 방식이라 악취 문제는 없고 오히려 바이오가스를 생산해 판매수익을 얻을 수 있다.하지만 주민들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이 여전이 혐오시설로 간주하고 있어 부지 선정이 순조롭지 않은 상황이다.음식물쓰레기 신규시설을 유치 신청한 5곳 중 북구 죽장면 침곡리는 주민의견이 제대로 수렴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유치 신청이 이미 취소됐다.농민단체를 중심으로 한 주민들은 “공론화 없이 몇몇 사람들이 적극 나서 유치를 신청했는데 주민동의 없는 유치 신청은 전면 무효다”고 반발하면서 유치 신청이 전격 철회됐다.흥해읍 흥안리의 경우도 일부 주민들의 반대로 유치가 불투명해지고 있는 실정이다.주민 설명회등 의견 수렴과정을 소홀히 한 채 밀어 붙이기식으로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포항시음식물쓰레기처리장 흥해읍 유치 반대대책위원회는 “포항을 대표하는 관광지인 칠포,오도리,용한리 해수욕장 인근에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 같은 혐오시설이 들어오는 것은 포항시 이미지 훼손은 물론 토지가격 하락 등의 피해가 우려된다”고 반발했다. 이처럼 신규시설 부지선정과정부터 장기간 지체되는 동안 업체에 지급되는 위탁비용만 늘어나면서 시 예산만 낭비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포항시에 따르면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수집운반비 포함)은 연간 120억원에 달한다.구체적으로 수집운반비용 연간 45억원,운송 및 처리비용 75억원 등 모두 120여억원으로 나타났다.따라서 부지 선정이 지연되면 동시에 시설 건립도 지연되고,결국 지급하지 않아도 될 운송비 및 음폐수 처리비 등은 수십억원의 혈세로 계속 충당해야 하기 때문에 예산낭비라는 지적이 나온다.시는 유치신청을 철회한 죽장면을 제외하고 나머지 후보지 남구 장흥동,동해면 발산리,청하면 상대리,흥해읍 흥안리 등 4곳을 대상으로 입지를 정하기로 했다.박상근 포항시 자원순환과장은 “오는 6월께 음식물쓰레기 신규 시설 입지타당성 용역 결과가 나오면 후보지 주민들을 상대로 사업의 안전성을 설명할 예정이다.”며 “신규로 설치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은 오랜기간에 걸쳐 입증된 혐기성소화방식이기 때문에 악취 등의 문제는 없으며 발생하는 음폐수도 하수처리장과 연계하는 시스템이므로 친환경적이다”고 말했다.이어 “660여억원을 투입해 건립되는 포항시음식물류폐기물처리시설은 1일 처리 용량 200톤 규모에 운영기간은 20년간으로, 선정된 지역은 주민지원기금 등 최대 256억원이 지원된다.”고 덧붙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