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거부권이란 대통령이 국회에서 이송된 법률안에 이의를 달아 국회로 되돌려 보내 재의를 요구할 수 있는 헌법상 권한이다. 이는 정부와 국회의 의견이 대립할 때 정부에 주어지는 가장 강력한 대응 수단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4일 국회 본회의에서 양곡관리법이 통과된 것을 언급하며 “그간 정부는 이번 법안의 부작용에 대해 국회에 지속적으로 설명해 왔으나 국회에서 제대로 된 토론 없이 일방적으로 통과시켜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또한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시장의 쌀 소비량과 관계없이 남는 쌀을 정부가 막대한 혈세를 들여 모두 사들여야 한다는 ‘남는 쌀 강제 매수법’”이라고 비난했다. 여야는 윤석열 대통령이 재의요구안을 의결하고 돌려보낸 양곡관리법에 관해 정부를 상대로 격론을 주고받았다. 민주당은 법으로 선제적 격리를 강제해야 쌀 생산 조정이 가능하다는 논리를 폈는데, 한덕수 국무총리는 정반대 입장을 고수했다.이날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이 있었다. 여야는 한덕수 국무총리에게 관련 질의를 집중했다. 한 총리가 ‘강제 격리시 생산 조정은 불가능하다’ 입장에서 움직이지 않자 민주당은 윤 대통령의 재의요구를 “입법권에 대한 중대한 도전을 넘어, 국민 삶과 쌀값 정상화에 대한 포기 선언”이라고 규정했다.민주당은 “농림축산식품부 자료를 보면, 이명박 정부에서는 생산 조정만으로 과잉생산을 해결했는데 박근혜 정부에서는 사후적 시장격리를 해서 쌀값이 대폭락했다. 바로 이 내용을 양곡관리법에 담은 것”이라고 했다.그러자 한 총리는 "과거 문제보다, 올해부터 2030년까지 이대로 가면 11.3%의 초과생산이 되고 가격은 현재 18만원에서 17만원으로 떨어진다는 것"이라고 반박했다.그러면서 "강제적으로 남는 쌀을 수매하도록 하는 제도 자체가 있는 한, 농민은 자체적으로 (생산을) 조정해야 할 인센티브가 없다"며 "`사전조정이 좋으냐, 사후격리가 좋으냐`는 질문이 성립되지 않는다. 강제수매가 있기 때문"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국민의힘은 양곡관리법의 역효과 우려를 앞세웠다. “양곡관리법을 반대하거나 재의요구를 한 것이, 정부의 쌀값 안정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의무를 저버리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대다수 국민들은 민주당이 노동자와 농민을 위한 법이라고 항변하며 이를 거부한 대통령에게 정치적 부담을 주려는 것으로 보고 있다. 농민을 볼모로 정치적 이득을 취하려는 행위를 하는 것은 포퓰리즘의 전형이다. 민주당은 총선을 앞두고 양곡관리법을 통과시켜 표를 얻을 욕심밖에 없어보인다.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부담을 주는 법안을 다수 의석으로 묻지마 통과를 시키는 것을 국민 대다수는 알고 있다. 누가봐도 총선을 의식한 정치적 의도라고밖에 해석되지 않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