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에서 조기 총선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말레이시아 정계가 부정선거 방지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국영 베르나마통신은 11일 국회 선거개혁특별위원회(PSC)가 부정투표 방지를 위해 투표용지에 일련번호 대신 바코드를 인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막시무스 옹킬리 PSC 위원장은 "만약 잉여 투표용지가 있다면 어디에서 왔는지 추적해야 한다"며 바코드 시스템을 도입하면 당국이 투표용지 배포를 감독하고 부정행위가 있을 때 이를 추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압둘 파타 마흐무드 의원은 앞서 투표용지의 일련번호 폐지를 제안했으나 선거관리위원회는 일련번호로도 비밀투표를 충분히 보장할 수 있다면서 바코드 도입에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선관위는 이에 앞서 지난해 말 PSC의 제안을 받아들여 차기 총선에서 반복투표 등 부정행위를 막기 위해 지워지지 않는 잉크를 사용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말레이시아 정계가 부정선거 방지대책에 골몰하는 것은 야권연합이 집권연합인 국민전선(BN)이 부정선거를 통해 장기 집권하고 있다고 비난하며 선거개혁을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는 2013년 중반 임기가 끝나는 나집 라작 총리가 현재의 높은 지지율을 이용해 재집권하기 위해 조기 총선을 실시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데다 야권도 차기 총선을 정권 교체의 호기로 보고 있어 선거개혁이 최대 쟁점이 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1957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지금까지 국민전선이 여러가지 변화를 거치며 계속 집권하고 있다.
그러나 안와르 이브라힘 전 부총리가 이끄는 인민정의당(PJP) 등 야권 3당 연합이 2008년 총선에서 13개 주 중 5개 주에서 승리한 바 있어 이번 총선은 역사상 가장 치열한 여야 대결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