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문제는 현재를 떠나 미래에는 더 큰 재앙이다. 지난 정부의 수장인 문 대통령은 “2022년 이후 청년고용 문제의 압박이 줄어들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청년실업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늘어났다. 정부가 바뀐 지금도 다양한 요인으로 사회 전반의 실업률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으며, 대책을 내놓아도 체감도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갈수록 기업환경이 나빠져 대기업 일자리가 줄면서 장기 실업자 중 상당수가 원하는 직장을 찾지 못해 오랜 기간 구직활동을 하고 있다. 장기 실업 상황은 나아질 기미가 없고 일자리창출 구호만 요란하다.실업급여나 취업훈련 지원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는 있지만 여전히 선진국에 비해 낮다 보니 실직을 하면 바로 취업을 준비하는 비경제활동인구로 편입되지 않고 영세 자영업자로 전환하는 사례가 대다수다. 결국 고용 안정성이 떨어지고 고용의 질도 낮아져 실업률이 경기 상황에 민감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이런 어려운 가운데도 최근 지자체인 포항시가 청년이 공감하는 정책을 발굴하기로 했다고 한다. 시는 ‘청년과 함께 만드는 더 큰 포항’을 비전으로 청년 맞춤형 예산 142억원을 확보해 일자리, 주거·교육, 복지·문화, 소통·참여 등 4대 분야에 대한 ‘2023년 포항시 청년정책 실행계획’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 1월 조직개편을 통해 청년정책 전담부서인 일자리청년과를 신설해 올해를 청년정책 고도화의 실질적 원년으로 삼고, 관련 정책 발굴과 일자리 연계를 통한 자립 기틀 마련 등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먼저 시는 청년들의 안정적인 일자리 지원을 위해 △청년 일자리 확대 및 취업역량 강화 △청년창업 활성화 및 내실화 △청년이 일하고 싶은 직장문화 조성 등 32개 사업에 74.5억 원을, 청년들의 주거·교육을 위해 △청년주택 공급 확대 및 주거비 부담완화 지원 △교육-일자리 연계 청년 진로 지원 △지역 맞춤형 청년 인재 양성 추진 등 10개 사업에 40억원을 투입한다.또한 청년들의 복지·문화를 위해 △청년 자립을 위한 복지후생 지원 △문화를 즐기는 청년의 삶 지원 등 7개 사업에 27억 원을, 청년들의 소통·참여 분야를 넓히기 위해 △정책 결정 과정 청년 주도성 확대 △청년 공간 활용 청년 활동·소통 강화 △지역공동체 청년참여 확대 등 5개 사업에 5,000만원을 편성했다. 시는 이러한 청년지원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청년주도 정책추진 ‘엔진’에 시동을 걸겠다는 방침이다. 포항시장은 “포항의 미래를 담당할 청년들을 위해 청년이 공감하고 만족하는 청년주도 정책을 지속 발굴하고, 청년들이 꿈꾸는 미래를 포항에서 실현해 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포항시 청년정책 실행계획이 차질없이 추진되어 청년들의 일자리가 늘어나 활기찬 청년들의 도시가 되기를 기대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