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영열기자]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7일 정부의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제3자 배상안을 비판하는 더불어민주당에 대해 "죽창가 타령을 거두고 제1야당으로서 책임있는 자세를 보여달라"고 촉구했다. 주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문재인 정부는 해결 당사자이면서 정치적 이익을 위해 반일감정만 자극하며 문제를 악화시켰다"며 "문재인 정부를 따라가지 말고 한일관계의 새 역사를 쓰고자 했던 김대중·노무현 정부를 따라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대다수의 국민들은 더 이상 민주당의 죽창가 타령을 찬성하지 않는다"며 "민주당의 죽창가 타령이 시대착오적이고 국익에 반하는 것이라는 걸 알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주 원내대표는 정부의 제3자 배상안에 대해 "1965년 한일청구권 협정과 2018년 대법원 판결을 동시에 수용하고 존중할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이라며 "관련 전문가들도 모두 합리적이라고 주장해온 방안"이라고 했다. 그는 "또 이 방안은 노무현 정부가 오랜 민간합동 논란 끝에 채택한 방안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이기도 하다"며 "정부는 방침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피해자 및 유족들과 대화를 계속해왔고 그분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고자 노력했다고 한다"고 전했다. 주 원내대표는 "정부의 이번 방침이 모든 피해자와 유족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또한 우리 국민들의 민족 감정을 100% 만족시킬 수 없다는 점은 잘 알고 있다"며 "하지만 세계 주요국가로 성장한 우리 대한민국 정부가 과거에 맺은 국제협정을 깨고 국제법을 어길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미 일본과 대등한 국가가 된 우리 대한민국이 자신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미래지향적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때가 됐다고 생각한다"며 "우리 대한민국의 이번 미래를 향한 전향적인 조치에 대해서 일본 정부와 기업도 상응하는 전향적인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주 원내대표는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의 6일 기자회견을 지적하기도 했다. 당초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직접 식민지 지배에 대한 사죄와 반성이 담긴 한·일 공동선언을 계승한다는 입장을 표명할 것으로 알려졌으나, 실제로는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으로 급이 낮아졌다. 일각에선 일본 정부가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사과나 반성은 없었고 과거 내각의 역사 인식을 계승한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내세운 것에 대한 비판이 일고 있다.주 원내대표는 "우리 정부 조치 발표 뒤에 보도된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의 발언은 문자 그대로 실망스럽게 느껴진다"며 "일본 정부가 그동안 양국 갈등을 뒤로하고 가까운 친구로서 한일협력과 한미일 협력의 새시대를 열려면 미온적 태도를 버리고 훨씬 적극적인 호응조치를 보여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