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필국기자]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하 KEIT)은 탈탄소,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변화하는 R&D 투자 환경에서 데이터 기반의 투자수요 예측 기능을 강화하고 외부 전문가와의 지식 교류와 협업을 지원하기 위한 ‘산업기술 R&D 디지털 플랫폼(R&D Open MEta Platform, 이하 `ROME`)’서비스를 시행한다고 밝혔다.서비스는 일반인과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플랫폼 포탈(ROME)과 전략산업 분야별 PD(Program Director)와 기획전문가가 주로 활용하는 기획지원서비스(Planning-sub.ROME)로 구성돼 있다. 각 서비스는 KEIT가 지난 1년간 구축한 약 2.3억건의 국내‧외 특허와 논문, 기업데이터, R&D 과제 데이터를 기초로 구축됐으며 대량의 이종 데이터를 단 한 번의 클릭으로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ROME은 지난해 11월 산업통상자원부가 산업기술 R&D 혁신 현장 발표회에서 제시한 `정부 R&D 디지털 전환 노력`의 일환으로 추진된 이행 과제로서 우리나라의 미래 산업의 먹거리 기획과 지원을 담당하는 KEIT에서 구축한 서비스다. 이번 서비스 오픈 범위는 산업 R&D전략 도출과 기획을 지원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향후 R&D 지원성과분석과 확산, 민간펀드 사업화 매칭 분야로 지속 확대 예정이다.ROME은 인공지능 자연어 분석(NLP) 기술을 활용해 이종 데이터와 문서 간의 상관관계를 학습하고 분석된 결과를 다양한 도표 형태로 나타냄으로써, 투자기획 전문가로 하여금 산업별 특허 분석, 경제성 및 무역 현황을 편리하게 탐색해 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이외에도 △사업기획 결과보고서 △우수 성과활용 사례 △기술분야 표준화 현황 △국가 R&D 지원현황 △기술별 기업‧전문가를 찾는 서비스가 제공되며 화상회의와 공동문서 작성 기능이 포함된 온라인 협업 기능까지 포함돼 있어, 기획 위원 간의 문서유통에 따른 보안도 강화될 예정이다.지난해 9월 취임한 이후로 스마트 경영을 통한 R&D 전문성 제고를 강조하고 있는 전윤종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원장은 “챗GPT의 등장으로 멀게만 느껴져 왔던 인공지능이 어느새 우리의 눈앞에 다가와 있다”며, “급변하는 외부 여건은 우리 같은 R&D 전문기관에게도 일하는 방식의 파괴적 혁신도 요구하고 있음을 실감한다”고 언급했다.이어 “KEIT는 데이터 기반의 기획 강화를 위해 `기획 디지털전환 협의체`를 구성해 실무에 적용시켜 나감으로써 정부 R&D 투자 방법론을 혁신하고 기획 역량을 획기적으로 제고하는 계기로 삼을 것”이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