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 출생아 수가 사상 처음 25만명 밑으로 떨어졌다는 통계청의 발표가 있었다. 합계 출산율은 0.78명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절반을 밑돌았다. `2022년 출생.사망통계(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전년(26만6천명)보다 4.4%(1만1500명) 줄어든 24만9천명으로 집계됐다.연간 출생아 수가 25만명을 넘지 못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12년 48만명을 넘던 출생아 수는 2015년 이후 연속해 줄기 시작하더니 10년 만에 절반으로 줄어든 것이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0.78명을 기록했다. 2018년 처음으로 1명(0.98명) 밑으로 떨어진 뒤 4년 만에 0.2명이 더 줄어든 셈이다.이는 2020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평균인 1.59명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38개 회원국 중 부동의 꼴찌인 동시에 합계출산율이 1명을 밑도는 유일한 나라다. 지난해 출산한 엄마의 연령은 33.5세로 전년보다 0.2세 늘었다. 갈수록 아이를 늦게 낳게 되면서 첫째아 평균 출산연령은 33.0세, 둘째아는 34.2세, 셋째아는 35.6세로 전년보다 높아졌다. 정부는 지난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16년간 280여 조원의 저출산 대응 예산을 투입했으나 출생아 수 감소를 막지는 못했다. 윤석열 정부는 부모급여, 육아휴직 기간 연장 등 단기적 대책을 내놨지만 중장기적 해결책은 요원한 상황이다. 경북도 실정은 마찬가지다. 도는 시군의 지방소멸을 적극적으로 공동 대응하기 위해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 수립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영양군 장계향문화체험교육원에서 행정안전부, 한국지방재정공제회, 경북연구원등 7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도·시군간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업무 담당자 역량 강화를 위해 ‘2023 경북도 인구정책 워크숍’도 개최했다.워크숍은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 제출을 4개월 앞둔 시점에 시군의 투자계획 수립상황을 공유, 발전방안을 논의해 2024년 지방소멸대응기금 확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워크숍에서 도는 인구감소 공동 대응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경북도 인구-산업 통합 플랫폼 구축 사업’과 ‘경북형 소규모마을 활성화 사업’을 소개했다.LX 한국국토정보공사와 함께 추진 중인 ‘경북도 인구-산업 통합 플랫폼 구축 사업’은 효과적인 지방소멸 대응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인구, 산업데이터를 통합 분석하는 시스템 구축 사업이다.시스템이 구축되면 단순 정주인구 뿐만 아니라 유동인구, 직장인구, 관광인구 등 인구 데이터를 중층적으로 수집해 체계적인 정책 추진을 지원한다. 도와 시군은 지방소멸대응기금을 마중물 삼아 인구감소 및 지방소멸에 대한 답안을 찾기를 기대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