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사회를 움직이는 것은 공직자들이다. 공직자들이 보다 청렴 할 때에 사회도 비례적으로 청렴하다. 공무원들의 청렴도는 바로 우리나라의 청렴도와 비례한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달 26일 ‘2022년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 결과와 기관유형별 등급을 발표했다. 청렴(淸廉)이란? 성품(性品)과 행실(行實)이 높고 맑으며, 탐욕(貪慾)이 없음을 뜻한다.권익위는 기존 청렴도 측정과 부패방지 시책평가를 통합한 새로운 종합청렴도 평가체계를 수립해 지난해 부터 적용했다. 종합청렴도 점수는 ‘청렴체감도’ 60%와 ‘청렴노력도’ 40%의 비중으로 가중 합산하고 ‘부패실태’는 감점하는 방식으로 산정해 최상위 등급인 1등급부터 최하위 등급인 5등급까지 총 5등급으로 나눈다. 평가 대상은 공직유관단체, 기초자치단체, 국공립대학, 공공의료기관 등 569곳으로 올해 처음 적용된 기준인 청렴체감도와 청렴노력도, 부패실태를 평가·종합해 총점을 산정했다고 한다. 중앙행정기관 중 5등급은 없었지만 검찰청, 경찰청, 외교부 등 논란의 대상이 된 기관들이 모두 4등급을 받았다. 행정안전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여성가족부 등도 4등급에 머물렀다. 법무부는 중간인 3등급으로 평가됐다.광역자치단체 중에서 1등급을 받은 곳은 단 한 곳도 없었다. 광주광역시와 제주특별자치도 등 5곳만 2등급을 받는 데 그쳤다.경북도는 상위권에 들었지만 대구시는 하위권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북·대구 기초자치단체 중 경주시와 대구 북구가 최상위권인 1등급을 받았지만, 문경시·봉화군·울릉군·울진군은 5등급의 불명예를 얻었다. 경북도의 경우 지난 2020년 상위권인 2등급 달성한 이후 3년 연속 청렴도 상위권을 달성하게 됐다. 기초자치단체 市 부문에서는 경주시가 경북에서 유일하게 1등급을 받았다. 2등급은 포항시와 구미시, 3등급은 경산시·김천시·안동시·영주시·영천시, 4등급은 상주시가 각각 받았으며, 문경시는 5등급으로 ‘꼴찌’를 기록했다. 아무리 철두철미(徹頭徹尾)한 제도와 법이 있더라도 분명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그렇다면 이런 부정부패(不正腐敗)와 부조리(不條理)를 근절하고, 청렴한 공직사회 풍토 조성을 위한 청렴의식 함양은 어떻게 해야 가능할까? 밑바닥이 뚫린 콩나물 시루에 물을 계속 주게 되면 그 물은 아래로 다 흘러 내리고 만다. 하지만 조금씩 물을 머금어서 싹이 나고 쑥쑥 자란 콩나물을 보게 될 것이다. 청렴도 콩나물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청렴은 아주 사소한 노력으로부터 시작하고, 언제나 우리 일상생활과 함께 한다. 사소한 것부터 기본과 원칙을 지키고, 비록 당연한 것일지라도 바르게 실천하고, 노력하다 보면 청렴은 자연스럽게 우리 생활 속에 녹아들게 될 것이다. 세계 최고 투자자 워렌버핏은 “조직이 명성을 얻는 데 60년이 걸리지만 그것을 잃는 데는 60초가 걸린다”고 말했다. 개인의 부도덕한 비위행위 하나로 공직자들의 여러 노력이 물거품이 돼 국민의 신뢰를 떨어뜨리는 것은 한순간이다.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한번 무너진 신뢰는 회복하기 힘들다. 청렴은 신뢰를 구축하고, 그 신뢰는 공정한 사회를 구축하는 데 밑바탕이 된다. 따라서 공직자의 청렴은 당연한 기본 의무이다.이제 우리 공직자 모두는 항상 나 자신부터 변해야 조직뿐만 아니라 사회를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을 반드시 명심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