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선엽 장군이 부대원들과 생사를 걸고 지켜낸 다부동 전투는 인근의 주요 고지의 방어선을 확보 하면서 승리에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내가 선두에 서겠다. 내가 물러서면 너희들이 나를 쏴라”면서, 백 장군은 돌격 명령을 내리고 자신이 선두에 섰다. 다부동 전투로 인해 대구·부산 축선의 방어선을 견고히 하여, 낙동강 전선을 돌파해 부산까지 밀려 내려오려는 북한군의 의도를 좌절시켰다. 그 결과 맥아더 장군의 인천상륙작전으로 전세를 역전시켜 자유 대한민국을 지킬 수 있었다. 국가장으로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어야 하나 좌파정부의 그릇된 정치적인 논리로 육군장으로 대전현충원에 모셔져 있다. 최근 칠곡군이 6·25 전쟁의 아픔과 故 백선엽 장군의 호국정신을 그릇에 담은 ‘장군 국밥’을 관광 자원화한다고 밝혔다. 왜관읍 원도심에서 열리는 ‘낙동강세계평화 문화대축전’과 ‘백선엽 장군 추모 행사’에서 장군 국밥을 선보여 관광객을 유치하고 미식가들의 발길을 사로잡는다는 계획이다.장군 국밥의 유래는 70여 년 전 북한군에게 전 국토의 95%를 점령당한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대한민국을 구한 ‘다부동 전투’로 거슬러 올라간다. 백 장군은 1950년 8월 18일 영천에서부터 사단 사령부가 위치한 동명초등학교까지 장거리 행군으로 지친 보충병을 위해 소속 부대로 이동하는 대신에 하루 휴식을 취하게 하고 돼지를 잡아 국밥을 제공했다.국군 1사단 사령부에는 전투 병력이 많지 않다고 판단한 북한군은 다음 날 새벽 백선엽 장군을 생포하기 위해 특공대를 보내 기습 공격을 감행했다. 때마침 국밥을 먹고 충분한 휴식을 취했던 보충 병력이 북한군과 치열한 교전을 펼친 끝에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그날 이후 밥과 고기를 한가득 담아 푸짐하게 차린 국밥을 장군 국밥이라 불렀다.백 장군의 부하를 아끼는 마음과 나라 사랑 정신이 깃든 장군 국밥은 40여 년 전부터 ‘진땡이 국밥’(구 장군 순대국밥)이 계승해 왔다. 진땡이 국밥은 각종 블로거와 SNS를 통해 전국에서도 손꼽히는 맛집으로 입소문이 자자하다.24시간 사골을 진하게 우려냈지만 탁하지 않고 담백한 맛이 일품이며, 장군 국밥 계승자답게 한 그릇 가득 국밥이 제공된다.故 백선엽 장군의 장녀 백남희 여사도 지난달 31일 김재욱 칠곡군수를 비롯해 제2연평해전 참전용사 권기형, 실종 장병 유해를 찾아 달라는 손 편지를 쓴 유아진 양과 진땡이 국밥을 찾았다고 한다.경북도민은 물론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칠곡을 찾아 ‘칠곡 장군 국밥’ 한 그릇을 먹으며 백선엽 장군을 기리며, 자유대한민국을 지킨 선하고 정의로운 호국정신을 되살리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