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현금 지원, 재정 투입 등 단기 임시적인 처방에서 벗어나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가 최근 발표한 ‘2023~2027 고용정책 기본계획’은 윤석열 정부의 향후 5년간 일자리 정책 추진 방향을 담았다.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은 국가 경제 성장의 핵심이나, 저성장이 고착화하고 산업·인구 구조가 급격히 변화하면서 노동시장 일자리 창출력은 갈수록 저하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그간 우리의 일자리 정책은 현금 지원, 직접일자리 확대 등 단기·임시 처방에 머물러 미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민간의 일자리 창출 여건을 조성하는 데 미흡한 측면이 있었다는 게 정부 진단이다.특히 갈수록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에 대비해 60세 이상 고령자에 대한 ‘계속고용’ 논의를 본격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노사가 지금처럼 자율적으로 재고용 등 계속고용 제도를 도입하도록 유도하되, 임금체계 개편과 연계해 2분기부터 정년연장·폐지 등 사회적 논의를 시작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를 토대로 올해 말 ‘계속고용 로드맵’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한다.우리나라는 4050세대 인구수가 전 국민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고, 2026년에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은퇴 후 죽음에 이르기까지 평균 20~30년의 기간 동안 인생 이모작을 위한 평생학습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서 100세 시대의 해법으로 대두되고 있다.각 지자체에서는 베이비부머 세대 등 중장년층을 위한 ‘지역 맞춤형 일자리 창출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장년층을 위한 일자리박람회나 채용설명회, 재취업 프로그램 등에서 직무 ‘교육’ 또는‘훈련’ 부문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재취업에 나서는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많아지면서 덩달아 경쟁도 치열해졌기 때문이다. 각 시·군이 개최하는 채용박람회를 통해 선발된 중장년층은 보통 전문 직업상담사의 무료 상담이나 진단을 통해 자기 적성에 맞는 취업분야를 찾는다. 이후 해당 분야의 소양교육과 직무훈련을 받은 이들은 지역특화산업 기업체에서 산업현장 실습기간을 거쳐 취업을 하게 된다. 지자체뿐 아니라 기업들도 이에 동참하여 베이비부머 세대의 재취업 교육에 이미 시작했다. 교육은 시민사서 양성과정, 부동산 경매전문가 양성과정 등 다양한 활동지원 등 자격증 취득과 일자리 창출, 전문 자원봉사자 육성을 위한 맞춤 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평생학습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야간과 주말교육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어 베이비부머 세대들은 재취업의 기회를 통해 인생 이모작을 시작할 좋은 기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