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종태기자]지난해 6월말 포항시 인구가 50만이 붕괴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지난해 6월말 포항시 인구는 49만9900명으로 50만명 아래로 떨어진 이후 11월 현재 49만7200명으로 5개월 연속 꾸준히 감소했다.특히 지난 2019년부터 15-64세까지의 생산인구의 유출이 큰 것으로 나타나 전출인구 방지 및 전입인구 촉진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생산인구가 타도시로 유출되는 일이 지속된다면 산업구조 변동 등으로 지역 경제발전을 더디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인구 감소 추세는 전국적인 현상이지만 경북 제1일의 도시를 자랑하고 있는 포항시로서는 50만 인구가 갖는 정치.경제적 상징성은 크다.무엇보다 배터리,바이오,수소등 신성장 동력산업의 육성을 통해 산업구조 다변화를 꾀하고, 양질의 일자리 확충으로 인구유입을 가속화해야 한다는 것.세계 이차전지 시장은 EV,ESS 등 시장확대로 인해 2030년에 300조이상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포항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지정에 이어 전후방산업 파급효과가 큰 이차전지 산업 육성을 통해 포스트(post)철강시대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다행히 포항영일만산단에는 이미 에코프로,포스코케미칼 등 배터리 전문회사가 속속 둥지를 틀기 시작하면서, 포항은 기존의 철강도시에서 서서히 미래 먹거리 산업인 이차전지 등 신성장 산업으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영일만1·4산업단지 약 10만평 부지에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에코프로BM, 에코프로EM, 에코프로이노베이션, 에코프로AP가 입주한 에코배터리 포항캠퍼스를 조성해 이차전지 선도도시로 우뚝서고 있다.통계청에 따르면 2035년까지 포항시 인구의 증가추세는 0.2% 감소해 2035년 49만13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출산율과 출생아 수 증가에 초점을 맞추었던 포항시 인구 정책 기조가 삶의 질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따라서 포항시는 기존의 저출산 대응책을 넘어서 일자리,주거,교육,유동인구 활동 등의 정책을 융합해, 지역사회의 특성과 지역 주민 욕구를 반영함으로써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인구정책을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출생에서 육아까지 양육환경 업그레이드해 출생률 높여야기업유치로 인한 인구유입과 함께 출생에서 육아에 이르는 고민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양육환경을 업그레이드하고,정주여건을 개선해야 출생률을 높일 수 있다는 의견이 많다.실례로 산부인과 전문병원이 없어 불편을 겪는 임산부들 및 출산 초보맘들에게 찾아가는 산부인과,육아 컨설팅을 제공하면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신생아의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주거 및 정주여건 향상으로 인구유입청년 및 신혼 부부의 경제적 안정을 도모하고 결혼과 출산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저렴한 임대주택의 공급을 더욱 확대해 보다 좋은 주거여건의 조성이 필요하다.여기에 신혼부부나 청년취업준비생에게 주거안정비용을 지원하는 방법도 있다.구체적으로 신혼부부에게 전.월세 임차보증금 이자전액을 지원해 육아부담을 덜어주면 출산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맞춤형 인재양성해 지역 인재의 역외 유출 방지포항시 관내 기업 및 지역 출향 기업인 등과 고등학교 간 업무 제휴를 통해 장학금,기숙사 건립,대학 등록금을 지원해 교육 경쟁력 강화로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면, 지역 인재의 역외유출을 막을 수 있다.포항시 관계자는 “저출산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포항시 인구도 50만 아래로 떨어졌다”며 “인구감소는 전국적인 현상으로 단순히 인구 50만 지키기에 급급하기보다, 기존의 보육 위주의 정책수립에서 아동,청년,여성의 행복 추구에 주안점을 두는 삶의 질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나아 갈 때이다.임신에서 출생까지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해 건강하고 행복한 가족문화를 조성하는데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