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영식기자] 대구시는 21일 산격청사에서 낙동강 상류댐 물 공급에 대한 기술ㆍ경제적 타당성 검토 및 최적 방안 마련을 위한 ‘맑은 물 하이웨이 추진방안 검토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착수보고회는 이종화 경제부시장을 비롯한 대구시 관계자와 한건연 경북대 토목공학과 교수, 남광현 대경연구원 박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종화 경제부시장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용역진 ‘다산 컨소시엄’의 총괄 연구책임자인 김성준 건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교수의 착수 보고에 이어, 질의응답 및 토론 시간으로 진행됐다.이번 용역 수행을 맡은 ‘다산 컨설턴트 컨소시엄’은 국내에서 다수의 수처리 및 상하수도 분야 연구용역 수행실적과 관련 분야 전문가를 보유한 ㈜다산컨설턴트, (사)한국물환경학회, (사)한국상하수도학회 3개사가 공동이행방식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있다.주요 보고 내용에는 △안동ㆍ임하댐 등 기술ㆍ경제적 타당성 검토 △장래 용수 수요 및 수급 전망ㆍ분석 △그간 중앙 및 지방정부의 낙동강 물 관련 용역 검토 △대체 수자원 개발 등 안정성 확보방안 △이해관계자(정부, 지자체) 우려 사항 검토ㆍ검증 및 대응 방안 등을 담고 있다. 대구시와 ‘다산 컨소시엄’은 착수 후 이른 시일 내 관련 제반 조사 등을 마치고 정부계획 반영을 위한 기술ㆍ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한 후 낙동강 상류 댐 물 공급에 대한 최적의 방안을 2023년 상반기까지 마련해 우선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다. 이어 다음해 말까지 대구시 물 수요ㆍ공급 정책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국내 전문가 그룹의 연구ㆍ자문과 포럼 등을 거쳐 대구시민을 위한 깨끗하고 안전한 물 공급 체계에 대한 비전과 방향을 제시한다.  이종화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대구시민이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식수 댐 물 공급 체계를 구축해 나갈 수 있도록, 지혜와 역량을 결집해 최적의 방안들이 도출되도록 연구에 힘써 달라”면서 “이번 용역을 통해, 우리나라는 이제 강물을 원수로 쓰는 시대는 끝내고, 깨끗한 식수 댐의 1급수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식수 정책 전환의 물꼬를 틔우는 계기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