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종태기자]감사원이 문재인 정부의 통계 조작 의혹과 관련해 황수경·강신욱 전 통계청장을 조사한 데 이어 홍장표 전 청와대 경제수석도 직접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감사원은 문재인 정부에서 소득주도성장, 부동산 가격, 고용 등 3대 주요 통계가 고의로 왜곡됐고, 여기에 청와대가 개입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2018년 8월 하위 20% 가구(1분위) 소득이 전년 대비 8% 안팎 급감했다는 통계가 나온 직후 황수경 전 청장이 경질됐고, 강신욱 청장이 임명됐다. 이후 가계동향 표본집단과 조사 방식에 대한 개편으로 상위 20% 소득이 하위 20%의 몇 배인지 나타내는 5분위 배율이 5배에 4배로 좁아졌다.통계청장을 지낸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가계동향 개편 이전 표본에서 32.9%(2019년 1분기 기준)를 차지했던 월 소득 200만원 이하 저소득층 비율은 개편 이후 25.8%로 7.1%포인트 급감했다. 1000만원 이상 고소득 비율이 1.1%포인트 증가한 것과 반대다.일각에선 표본 자체에서 저소득층 비중이 줄어든 탓에 양극화 지표가 개선된 것처럼 나왔다는 지적이 나왔다. 통계청은 당시 논란에 대해 "시계열 안정성, 인구 사회학적 특성 등을 면밀하게 검토한 후 공표한 것"이라고 반박했다.문재인 정부 때인 2020년 김현미 당시 국토교통부 장관은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문 정부 들어 집값이) 감정원 통계로 11% 정도 오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하지만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문 전 대통령 취임 후 3년간 서울 전체 주택 가격은 34% 올랐으며, 이 중 아파트값 상승률은 52%에 달한다고 주장했다.또 지난해 국토교통부는 부동산원 통계를 토대로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5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서울 아파트 값이 17.2%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KB에 따르면 평균 매매가격은 75% 올랐으며,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조사 결과는 가격 상승률이 79% 달했다고 발표했다.이에 감사원은 당시 부동산 가격 동향 조사 과정에서 표본을 의도적으로 치우치게 추출하거나 조사원이 조사 숫자를 임의로 입력하는 방식을 통해 통계를 고의로 왜곡한 것으로 보고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김현미 전 장관 등 윗선의 개입 여부도 조사할 계획이다.감사원은 문재인 정부에서 비정규직이 대폭 증가했다는 통계가 나온 뒤 당시 대처 과정에 대해 주시하고 있다.앞서 문 정부는 공공기관 `비정규직 제로` 목표를 내세우며 정규직 축소에 나섰지만, 2019년 통계에선 반대로 비정규직이 전년 대비 87만 명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강신욱 당시 청장은 "금년도 조사에만 약 35~50만명이 추가됐다"고 설명했다. 기존 조사에서 포착되지 않았던 기간제 근로자 등이 추가로 포착됐단 취지다.하지만 일각에선 추가로 포착된 기간제 근로자를 제외하더라도 1년 새 비정규직 근로자가 36만7000명~51만7000명 늘었다며 역대 최대 비정규직 증가를 설명하기엔 한계가 있단 분석이 나왔다.감사원은 전 정부 고위 인사들까지 소환 조사한 뒤 이르면 다음 달 감사를 매듭짓겠다는 방침이다. 조사 결과에 따라 검찰 수사 의뢰 가능성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