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달 말까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에서 권고 등 자율방식으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했다.중앙방역대책본부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시점을 이르면 내년 1월, 늦어도 3월로 제시하는 등 조만간 ‘마스크 프리’시대가 열릴 것으로 보인다.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을 검토하게 된 배경으로 코로나19의 병원성이 다소 약화해 이전보다는 낮은 질병 부담을 보이고 있고, 다수 국민이 백신접종과 자연감염에 의해 감염 및 중증 방어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이전과 같은 대규모 유행 가능성이 적다는 점을 들었다.그동안 이행 시점을 결정하지 못한 이유는 현재 유행이 감소 추세에 이르지 않았고, 고연령층의 2가 백신 접종에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하며, 인플루엔자와 같은 감염병의 확산 방향이 불명확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다만 “대부분의 실내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 조치가 권고로 전환되더라도 고위험군 보호를 위한 필수시설 등은 여전히 의무로 남을 수 있다”며 “스스로의 건강을 위해 자율적인 마스크 착용은 상황에 맞게 계속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난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며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에 대한 조정 방향을 논의해 이달 말까지 최종 조정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중대본 이상민 장관은 “정부는 11월 초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조치에 대한 완화를 겨울철 재유행의 정점이 지난 이후 추진하겠다고 말씀드린 바 있다”며 “중대본 회의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화 조정 방향을 논의하고 15일 공개토론회,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거칠 것”이라고 말했다.백경란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질병관리청장)은 이날 방대본 브리핑에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시점을 이르면 내년 1월, 늦어도 3월로 제시했다.이는 유행 상황 등에 대한 기준이 충족될 경우를 전제로 한 것이다. 백 본부장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와 관련한 방역 조치가 완화되더라도 고위험군 보호를 위한 시설에는 의무로 남을 수 있다고도 했다.그는 “기준과 대상, 방법 등은 현재 전문가 그룹이 논의 중이다. 이행 시기는 향후 (유행 상황 등) 기준이 충족되면 이르면 내년 1월에서 늦어도 3월 사이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지자체에서 시작해 정치권을 거치며 불붙은 실내 마스크 의무 완화가 시행되면 일상생활은 물론 서민가계에도 조금은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내년 3월 이후에나 마스크 의무 완화를 검토하던 방역당국의 다소 급작스런 입장 선회에 대해 우려의 반응도 있는 만큼 사전 당국은 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