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신일권기자]대학 교수들이 올해의 사자성어로 `과이불개`(過而不改)를 뽑았다. "잘못을 하고도 고치지 않는다"는 뜻이다.11일 교수신문과 온라인 조사 전문기업 `마크로밀 엠브레인`이 교수 935명을 대상으로 올해의 사자성어를 추천받은 결과, `과이불개`가 50.9% 득표율을 얻어 1위로 선정됐다.교수신문에 따르면 과이불개는 논어 `위령공편`에 "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 것, 이것을 잘못이라 한다"는 뜻으로 처음 등장한다. 조선왕조실록 `연산군일기` 3년에도 "연산군이 소인을 쓰는 것에 대해 신료들이 반대했지만 과실 고치기를 꺼려 고치지 않음을 비판했다"고 쓰였다.박현모 여주대 교수(세종리더십연구소장)는 과이불개를 추천한 이유에 대해 "하나는 우리나라 지도층 인사들의 정형화된 언행을 이 말이 잘 보여주기 때문"이라며 "여당이나 야당할 것 없이 잘못이 드러나면 `이전 정부는 더 잘못했다` 혹은 `야당 탄압`이라고 말하고 도무지 고칠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교수신문은 교수 12명으로 구성된 추천위원단에서 22개의 사자성어를 뽑은 뒤 예비심사단 회의를 거쳐 상위 5개를 선정했으며, 지난달 23일부터 30일까지 이메일 조사를 통해 1~5순위 사자성어를 최종 결정했다.조사에 참여한 교수들의 연령대는 50대가 404명(43.2%)으로 가장 많았고, 60대(343명·36.7%), 40대(125명·13.3%) 등이 뒤를 이었다.과이불개에 이은 2~5위 사자성어로는 "덮으려고 하면 더욱 드러난다"는 뜻의 욕개미창(欲蓋彌彰, 14.7%), "여러 알을 쌓아 놓는 듯한 위태로움"을 의미하는 누란지위(累卵之危, 13.8%), "과오를 그럴 듯하게 꾸며대고 잘못된 행위에 순응한다"는 뜻의 문과수비(文過遂非, 13.3%), "자기의 좁은 소견과 주관으로 사물을 그릇 판단하다"는 의미의 군맹무상(群盲撫象, 7.4%)이 선정됐다.지난해는 "도둑 잡을 사람이 도둑과 한패가 됐다"는 뜻의 묘서동처(猫鼠同處), 2년 전엔 `내로남불`을 뜻하는 아시타비(我是他非)가 올해의 사자성어로 뽑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