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일만 대교 건설은 이명박·박근혜·문재인 대통령 등을 거쳐 무려 14년이 넘도록 경제성 부족 등을 이유로 사업 자체가 답보상태를 면치 못했다.그러다가 윤석열 정부 들어 교량 건설의 필요성이 부각되며 설계용역비 20억원을 예산에 편성되면서 급물살을 탔다.오랜 지역민의 숙원사업인 영일만대교가 최근 해상교량과 해저터널 복합방식으로 추진하는 것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고 한다.북구 흥해읍~포항신항 동쪽 인공섬까지는 영일만대교를 건설하고, 인공섬에서 님구 동해면까지는 해저터널로 만든다는 것이다.인공섬을 만들어 해저터널을 건설할 경우 건설비용은 전 구간을 해상교량으로 추진하는 것에 비해 1조원 가량 더 늘어나 총 3조2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영일만대교의 교량 구간은 사장교 1곳(0.94㎞)을 포함해 약 3.6㎞, 터널 구간은 쉴드터널 1곳(4.6㎞)과 NATM터널 1곳(1.4㎞) 등 약 6.0㎞로 예상된다.국방부의 반대로 대교노선은 한 때 해상구간을 축소해 흥해읍에서 포항신항까지 교량을 건설하고,포항~울산IC에서 신항까지는 육상 터널로 접속시킨다는 안이 검토됐다.하지만 터널 굴착시 지하 60~70m까지 깊게 뚫어야 하고, 지반이 균일하지 않아 공사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또한 공사도중 제철소 설비에 피해가 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전 구간을 바다를 경유하는 것으로 급선회했다. 다시 말해 해상교량에 해저터널을 추가한 복합 노선으로 건설키로 한 것이다.포항시민들은 “전 구간을 해상교량으로 건설하지 못함으로 인해 못내 아쉽다. 하지만 해상교량 구간이 짧아 동해안의 랜드마크로서의 위상은 떨어지지만, 그나마 윤석열 정부에서 공약사업으로 적극 추진해 이제야 그 결실을 보고 있다”고 말한다.국토부는 이달 10일께 영일만대교 노선을 확정하고 기본 및 실시설계 발주에 착수할 예정이다. 이후 기획재정부와 총사업비 협의를 거쳐 설계를 마치면 내년에는 첫 삽을 뜰 것으로 전망된다.포항시는 설계비조로 국토부 부담 예산 100억원을 내년도 당초 예산에 반영시키고, 나머지 도로공사 부담분 120억원을 합해 총 220억원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전국에 해상교량이 35개소에 이르지만 경북은 바다를 낀 지자체 중 유일하게 해상교량이 없어 영일만대교 건설이 더욱 절실하다.이를 위해 지역 정·관계가 정치적 유불리를 떠나 뜻을 한데 모아 시에 힘을 모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국방부를 설득하는데 실패해 전 구간을 해상교량으로 하지 못한 아쉬움이 크다. 그러나 대교건설이 지역민의 숙원사업인 만큼, 지역 정치인이 적극 나서서 총력을 기울여 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