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종태기자]지역민의 숙원사업인 포항 영일만대교가 해상교량과 해저터널 복합방식으로 추진하는 것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이 경우 북구 흥해읍~포항신항 동쪽 인공섬까지는 영일만대교를 건설하고,인공섬에서 님구 동해면까지는 해저터널로 만든다는 계획이다.인공섬을 만들어 해저터널을 건설할 경우 건설비용은 전 구간을 해상교량으로 추진하는 것에 비해 1조원 가량 더 늘어나 총 3조2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영일만대교의 교량 구간은 사장교 1곳(0.94㎞)을 포함해 약 3.6㎞, 터널 구간은 쉴드터널 1곳(4.6㎞)과 NATM터널 1곳(1.4㎞) 등 약 6.0㎞로 예상된다.국방부의 반대로 대교노선은 한 때 해상구간을 축소해 흥해읍에서 포항신항까지 교량을 건설하고,포항~울산IC에서 신항까지는 육상 터널로 접속시킨다는 안이 검토됐다.하지만 터널 굴착시 지하 60~70m까지 깊게 뚫어야 하고,지반이 균일하지 않아 공사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또한 공사도중 제철소 설비에 피해가 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전 구간을 바다를 경유하는 것으로 급선회했다. 다시말해 해상교량에 해저터널을 추가한 복합 노선으로 건설키로 한 것이다.포항시민들은 “전 구간을 해상교량으로 건설하지 못함으로 인해 못내 아쉽다”며 “하지만 해상교량 구간이 짧아 동해안의 랜드마크로서의 위상은 떨어지지만, 그나마 윤석열 정부에서 공약사업으로 적극 추진해 이제서야 그 결실을 보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국토부는 이달 10일께 영일만대교 노선을 확정하고 기본 및 실시설계 발주에 착수할 예정이다. 이후 기획재정부와 총사업비 협의를 거쳐 설계를 마치면 내년에는 첫삽을 뜰 것으로 전망된다.포항시는 설계비조로 국토부 부담 예산 100억원을 내년도 당초 예산에 반영시키고, 나머지 도로공사 부담분 120억원을 합해 총 220억원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역 정.관계가 정치적 유불리를 떠나 뜻을 한데 모아 포항시에 힘을 모아 주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시민들은 대교건설이 지역민의 숙원사업인 만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으로 있는 김정재 의원이 정치적 이해관계를 떠나 예산확보 등에 총력을 기울여 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포항시민단체연대회의 김명동 상임대표는 “지역 국회의원을 비롯한 정치인들이 중앙의 눈치만 보고 지역민들의 목소리에 좀처럼 귀를 기울이지 않다보니 숙원사업 역시 뒷전으로 밀려났다”며 “급기야 영일만대교 노선을 두고 국방부를 설득하는데 실패하고 해저터널을 끼워넣는 방식으로 가닥이 잡히는 것같아 너무 안타깝다”고 밝혔다. 지역의 한 원로는 “국방부를 설득하는데 실패해 전 구간을 해상교량으로 하지 못한 아쉬움이 크지만, 명품교량을 만드는데 지역 정치인이 적극 나서서 대교 건설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포항시 관계자는 “대교 전 구간을 해상교량으로 건설하지 못해 아쉽지만, 국토부가 해상교량과 해저터널로 연결하는 복합방식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14년간 표류하며 과거 어느 정부에서 추진되지 못했던 사업을 현 정부 들어 대교 건설이 기정사실화 된 것에 보람을 느낀다. 영일만대교가 지역의 랜드마크로 우뚝 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영일만 대교 건설은 이명박·박근혜·문재인 대통령 등을 거쳐 무려 14년이 넘도록 경제성 부족등을 이유로 사업 자체가 답보상태를 면치 못했다.그러나 윤석열 정부 들어 교량 건설의 필요성이 부각되며 설계용역비 20억원을 예산에 편성되면서 급물살을 탔다.영일만대교가 건설되면 서·남해안에 치우친 국가 도로망을 ‘U자형’으로 완성해 국가균형발전 측면에서 지역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다.전국에 해상교량이 35개소에 이르지만 경북은 바다를 낀 지자체 중 유일하게 해상교량이 없어 대교건설이 더욱 절실하다. 영일만대교는 포항영일만산업단지와 블루밸리산업단지,영일만항, 철강산업단지 등과 접근성이 나아져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영일만항을 거쳐 중국.러시아 등 북방으로 연결되는 교역이 포항에서 시작한다는 커다란 의미가 있다.관광 분야에서는 경북에 ‘동해 유일한 해상교’라는 상징성으로 해상케이블,스카이워크,호미반도 국가해양정원 등과 연계해 해양관광도시인 포항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