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상수기자]경북도는 지난달 30일 도청 회의실에서 탄소중립 시대, 창의와 혁신 도정 실현을 위한 `산림분야 발상전환 토론회`를 개최했다.정규원 경북도 산림정책자문관은 `경북산림자원을 이용한 클러스터 구축`이란 주제로 한 특강에서, 산림바이오매스 에너지 활용과 목제품 이용 활성화로 정책 전환이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해법임을 강조했다.경북도는 미래 산림정책의 주도적 추진을 위해 한국산림기술인회 명예회장을 지난 6월 산림정책자문관으로 위촉했다.이어 산림의 탄소흡수원 확충을 위해 `대형 산불피해지 복구체계 개선을 통한 산지활용 전략`과 `경북형 마을 숲 정원 조성사업 추진`이라는 2가지 주제로 부서별 대응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도 진행했다.특히, 산불의 대형화․연중화로 피해지 복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 기존의 조림․사방사업 위주 복구에서 벗어나 소득화, 산업화, 기업․산주 상생협력모델 등 산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반영한 다양한 복구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보면 흡수원 분야에서 산림이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흡수량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산림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경북은 산림면적이 133만ha이며 이중 사유림이 71%로 전국에서 가장 넓은 사유림 면적을 가지고 있다.도는 산림의 탄소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관리와 산주의 소득창출을 위한 정책으로 전환을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최영숙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지역 산림이 다양한 기능을 가진 공간으로 부상할 수 있음을 다시금 확인했다”며 “산림의 활용 방법을 다양하게 개발해 소득증대와 혜택을 도민에게 돌려 줄 수 있는 산촌 유토피아 실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