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가 안전운임제 품목 확대 및 일몰 폐지 등을 주장하며 24일 총파업을 예고했다.조합원이 총 2만5천여 명에 달하는 화물연대가 5개월 만에 다시 국가물류를 인질로 해서 총파업을 하겠다는 것은 국민을 불안하게 해서 그들의 목적을 달성하려는 의도다. 올해 6월 화물연대 파업으로 수출기업들이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지난 6월7일~14까지 8일간 화물연대 파업으로 주요업종별 피해액(추정치)은 철강업계 1조1500억원, 석유화학업계 5천억원, 자동차업계 2571억원 등으로 중소·중견기업 피해까지 더하면 2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걱정하는 부분은 컨테이너 화물차 파업에 따른 선적 차질이다.화물연대 조합원은 국내 사업용 화물차의 5%가량인 2만5천여 대 정도다. 절대비중이 높지 않아 보이지만 컨테이너 화물차가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차량 운행이 멈추면 수출 화물 반출·입 차질이 불가피하다.선적 차질에 따른 지체보상금은 바이어가 아닌 납품기업의 몫이다. 지체보상금은 보통 계약금액의 5~10%다. 원부자재 가격 상승과 운임비 인상 등에 수익성이 악화된 수출 중소기업들 입장에서 지체보상금 피해까지 누적되면 존폐위기에 내몰리게 된다.중소기업계는 화물연대가 안전운임제 품목 확대와 일몰폐지를 이유로 파업을 예고한 것에 대해 허탈감을 드러내고 있다.산업계는 3년간 시행한 안전운임제에도 문제점이 있는 만큼 기존제도는 일몰한 후 새로운 제도를 논의하자는 입장이었다.그러나 정부, 국회, 산업계, 노조 등 이해관계자들은 안전운임제도 지속 여부 및 개선방안을 명확히 하지 않았고 사태 미봉에만 그쳤다.정부와 국민의힘은 국회에서 당정협의회를 열고 안전운임제 일몰 기한 3년 연장을 추진하기로 했다. 민주노총 주장을 일부 받아들여 법 개정안을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 제출할 예정이지만 화물연대는 더 많은 것을 요구하며 총파업을 강행할 태세다.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안전운임제 적용 품목(現 컨테이너·시멘트) 철강·차량운송·곡물·사료·유조차·택배 간선 화물차까지 확대 등을 요구하고 있다.반면 한국무역협회, 대한상공회의소,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중앙회, 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중견기업연합회 등 경제 6단체는 심각한 피해가 우려된다며 파업 철회를 촉구했다.정부는 24일로 예정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의 전국 동시 운송 거부 등 총파업과 관련한 불법행위에 대해 엄정 대응하겠다고 밝힌 만큼, 국가물류를 인질로 삼아 수출기업과 국민의 불안을 주는 화물연대의 불법행위에 대해 강하게 대처하고 주동자에 대해서는 추적 조사를 통해 사법처리를 엄정하게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