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자살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위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근로자의 자살 예방을 위해 성별에 따른 맞춤 관리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 한국의 자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상원, 조성준 교수, 이희준 전공의는 2015~2019년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의 심케어 서비스(직장인 마음건강 증진 서비스)를 이용한 우리나라 근로자 9326명을 대상으로 자살 사고 발생 위험을 높이는 직무 스트레스 요인을 성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연구 결과, 남성 근로자는 근무시간의 증가와 자살사고 증가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여성 근로자는 근무시간 이외의 요인들이 자살사고 증가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남녀 직장인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직장인의 성별을 고려한 자살예방 대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직장인의 자살과 근무시간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동시에 성별에 따른 자살예방 대책을 고민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이어 “앞으로 연구를 통해 직장인 자살 예방을 위한 근무시간 조절, 초과 근무자에 대한 적절한 보상 제공 등의 효과 분석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한국에서 발생하는 자살문제는 심각하다.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OECD국가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 특히 청소년 사망원인 1위는 8년째 자살이었다. 노인들의 자살률도 세계에서 가장 높아 부끄러운 통계자료를 남기고 있다. 실업이나 가정 해체를 이유로 한 자살은 앞으로도 늘어날 것으로 우려 된다.장기적으로는 실업대책이나 가정 해체 방지대책이 필요하지만 당장으로서는 ‘자살예방협회’와 같은 기관에서 전화상담 등을 통해 자살을 줄여나갈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자살수단의 통제만으로는 자살을 막는데 한계가 있으며 정신적인 건강상담 등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자살은 자살하는 사람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그들과 함께 살아가고 있는 우리 모두의 문제이기도 하며 사회적 가치와 문화를 생명을 존중하는 문화로 바꾸려는 시도 역시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인 것이다. 각 세대에서 발생하는 자살을 막기 위해서는 다양한 전략과 전문가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자살예방전략 및 대책은 분야별로 전문화되어 있지만 전문가의 수는 매우 부족하다고 한다. 모든 사업이 마찬가지지만 자살예방사업 분야도 연구·교육·기획·홍보·실행 분야의 전문가 양성이 절실히 필요하다. 늦었지만 이제부터라도 국가와 전 국민은 자살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적극 대처해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