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용묵기자] 윤호필 상주박물관관장은 지난 18일 박물관 세미나동에서 ‘상주 이부곡토성의 성격과 활용방안’이란 주제로 제10회 학술대회를 향토 사학계와 시민들의 관심과 주목을 끌었다.  ‘상주 금흔리 이부곡토성’은 상주 병풍산성, 남산고성, 견훤산성 등과 함께 상주 지역의 주요 고대 성곽유적으로, 상주의 고대 정치체인 사벌국의 옛 성으로 알려져 왔으며, 상주의 고대사를 풀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상주 금흔리 이부곡토성 유적에 대한 최근 발굴 성과발표(이진혁, 상주박물관)를 비롯해 △영남지역 토성과 이부곡토성 비교검토(조인규, 경강문화재연구원) △문헌과 성곽을 통해 본 고대 상주의 공간구조(박성현, 한양대학교)  △상주 이부곡토성 유적의 보존 및 활용방안(장충희, 전북연구원) 등 여러 학문 분야의 연구성과가 소개됐다. 또한 나동욱 前 부산 복천박물관장을 좌장으로, 발표자 전원과 안성현 연구위원(중부고고학연구소), 박달석 조사부장(세종문화재연구원) 등이 참여해 이부곡토성의 학술적 가치와 활용방법에 대한 종합토론이 진행됐다.윤호필 상주박물관장은 "이번 학술대회는 한국고대사 연구의 진전과 역사문화유산으로서 지역민들의 공감대 형성에 크게 기여했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