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윤석열 대통령이 집권(執權)한지가 6개월이 지났다. 전 정부가 소득주도성장과 부동산값 폭등, 원전 정책 폐기에 따른 국민 고통 가중, 친북 일변도 정책으로 국민에게 깊은 실망과 불안을 안겨 준 만큼 새 정부에 대한 국민의 기대가 컸다.그러나 공정(公正)과 상식(常識), 자유(自由)를 앞세우고 야심차게 출발했던 새 정부 6개월에 대한 국민 여론(輿論)은 싸늘하다고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대통령실 용산 이전이 다소 무리하게 결정돼 추진됐지만 평가를 유보(留保)하고, 지켜보자는 시각들도 많았다.
그런 기대는 점점 퇴색(退色)해지고 있는 게 엄연(儼然)한 현실이다. 단지 검찰 출신 중용 논란, 권력기관 장악 논란, 부인 관련 잡음, 여권 내 권력다툼, 대통령 자신의 각종 설화 등 때문만은 아닐것이다. 취임 초 여러 혼선(混線)을 거쳤던 대통령은 100일 기자회견에서 “분골쇄신(粉骨碎身)”을 다짐했다. 또한 수해 등 각종 사고 현장을 찾으며 동분서주(東奔西走)했다. 비상경제민생회의를 10여 차례 열고, 최근엔 회의 상황을 생중계도 했다. 그러나 국정의 핵심(核心)과 줄기가 뭔지 여전히 분명치 않다는 것이다. 유엔 등 가는 곳마다 “자유(自由)”를 외쳤지만 집권 5년 국정 과제로 어떻게 실현(實現)할 건지 알 수 없는 상황이 이어져 왔다.
특히 지금 국내외 여건은 녹록(錄錄)치 않은 수준을 넘어 매우 위태로운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윤 대통령 취임 때보다 더 나빠진 상황이다. 외환위기 때보다 심각한 수준의 경제 한파(寒波)가 몰아치기 시작했음을 일반 서민(庶民)들도 피부로 직접 느끼고 있다. 다가오는 2023년은 모두가 더 어렵다고들 한다. 새 정부는 이 상황이 얼마나 절박(切迫)한지? 이런 경제위기를 돌파(突破)할 전략(戰略)은 있는지? 리더십은 갖췄는지? 고개가 갸우뚱거려진다.
지금 당장은 이태원 핼러윈 참사 수습에 집중해야겠지만, 곧 집권(執權) 2년차다. 북한의 시도때도 없이 쏘아올리는 미사일 발사와 7차 핵실험 위협까지 노골화(露骨化)하고 있다. 이런 와중에 국정 신뢰를 어떻게 회복할지? 절제절명(節制絶命)의 자세로 고민해야만 한다. 야당과의 소모적인 정쟁(政爭)은 국정에 백해무익(百害無益)하다.하루빨리 야당과의 협치(協治)도 모색해야만 한다. 특히 이번 이태원 참사(參事)를 보면 책임 있는 정부 당국자(當局者)들이 하나같이 몸을 사리며, 대통령 눈치만 살피고 있는 듯한 모습들을 보이고 있다. 누구 하나 “나에게 책임(責任)이 있다”며 선듯 나서는 사람이 하나도 없다. 각자가 자리보전(保全)에만 급급한 듯한 형국(形局)이다. 이래서야 어떻게 책임정치(責任政治)를 논(論)할수 있겠는가요. 집권 2년 차를 앞두고 대통령을 비롯해 윤 정부 인사들이 살신성인(殺身成仁)의 자세를 국민에게 반드시 보여야 한다. 이 모든 것의 중심(中心)엔 바로 대통령(大統領)이 있다. 자신과 주변에 한없이 엄격한 ‘자기희생(自己犧牲)’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하루속히 탄탄한 국정(國政) 시스템을 구축(構築)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