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종태기자]14년째 표류하던 포항 영일만 대교 건설사업이 마침내 내년에 첫 삽을 뜰 가능성이 높아졌다.하지만 국방부의 끈질긴 반대로 포항시 동해면에서 영일만을 가로지르는 해상교량 길이는 절반이상 줄어 들 전망이다.포항시는 남구 동해면에서 북구 흥해읍 영일만배후산업단지까지 연결하기로 했지만, 국방부측이 군 작전시 군함 통행 등에 영일만대교가 방해가 된다는 이유로 사장교 건설을 줄곧 반대해 왔다.문제 해결을 위해 포항시는 국방부와 수차레 논의를 거쳤지만,상호 합의점을 찾지 못함에 따라 해상교량을 축소하는 방안으로 급선회했다. 포항시에 따르면 해상교량은 9km에서 4km로 줄어들게 되고,교량 출발점은 당초 남구 동해면에서 포항신항으로 변경한다. 또한 울산~포항 IC에서 육로를 경유해 문덕 인근 지역부터 지하터널을 만들어 신항으로 연결한다는 계획이다.철강공단이 집적돼 있는 문덕 지점부터 지하터널을 개설할 경우,공단으로부터 나오는 각종 화물차량들이 지하로 통행하게 됨으로써 교통난을 사전에 방지하는 획기적인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해상교량이 줄어 들어 랜드마크로서의 상징성이 줄어 들 수 있지만, 공단 인근을 지하화해 차량의 흐름을 원할히 하게 되면 포항의 새로운 교통 혁명을 불러 올 것으로 기대된다. 포항시 관계자는 “대교 건설 문제로 국방부와 끊임없는 대화를 가졌지만,사장교가 전시시 붕괴되면 군사작전에 방해가 된다는 논리를 굽히지 않아 부득이 노선을 변경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며 “포항시 주장만 고집할 경우 대교 건설사업 자체가 무산될 우려가 있어,해상교량 구간을 축소하는 대신 공단 인근 지역을 지하화하게 되면 교통흐름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영일만 대교 건설은 이명박·박근혜·문재인 대통령 등을 거쳐 무려 14년이 넘도록 경제성 부족등을 이유로 사업 자체가 답보상태를 면치 못했다.그러나 윤석열 정부 들어 교량 건설의 필요성이 부각되며 설계용역비 20억원을 예산에 편성되면서 급물살을 탔다.하지만 군 작전시 군함 통행 등에 영일만대교가 방해가 될 수 있다는 국방부측의 부정적인 의견이 나와 사업 추진에 걸림돌이 되어 왔다.특히 해군측은 전시시 영일만대교 사장교 주탑이 파손되면 군함이 통행하기 어렵다는 분석을 내놓으면서 사업이 계속 지체돼 왔다.이에 포항시는 국방부 관계자를 수차레 만나 논의를 했지만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하자,급기야 해상교량을 절반으로 줄이는 것으로 방향을 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변경안에 따르면 당초 남구 동해면~북구 흥해읍(영일만배후산업단지)까지 연결하기로 했던 해상교량 건설안을 포항신항~북구 흥해읍으로 변경하는 안이 잠정 협의된 것으로 전해졌다.이강덕 포항시장은 “지역의 숙원사업인 영일만대교 건설을 위해 국방부장관을 직접 만나 설득작업을 펼쳤지만,전시시 교량 주탑이 붕괴된다는 억지 주장을 꺽지 못했다”며 “새 정부 들어서서 어느 때보다 대교 건설이 탄력을 받고 있는 이때, 서로간 엇갈린 주장으로 대립하기보다 한발 양보해 해상교량 일부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시는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지역민의 숙원사업을 반드시 이루어 내겠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