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영식기자] 대구시교육청은 내년도 본예산안으로 올해보다 18.0% 증가한 4조3922억원을 편성했다고 10일 밝혔다.  시 교육청에 따르면, 이번 예산안은 개인에 맞는 맞춤형 교육으로 학생 스스로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을 높이고, 미래형 교육환경에서 안전하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에 중점을 뒀다.  2023년도 주요 세입예산안은 중앙정부이전수입이 3조6353억원으로 올해 보다 6717억원 증가했다. 지방자치단체이전수입도 6645억원으로 올해에 비해 165억원 늘었다. 자체수입 등은 올해 보다 189억원 감소한 924억원으로 편성했다. 세출 예산안은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ㆍ정서적 역량 함양을 위한 인성교육 △개별 맞춤형 교육으로 학생의 학습역량 제고 △학생의 여건과 상황에 맞는 교육복지 지원 △미래형 교육환경 구축과 학생의 건강한 성장 지원 △서로 존중하며 소통하는 교육공동체 운영에 중점을 뒀다.  학생 스스로 마음을 조절하는 활동으로 내면의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초등학교 5학년과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마음교육을 집중 실시하고, 사회성 함양을 위한 또래활동 활성화 사업에 유아를 포함한 전체학생을 대상으로, 1인당 최대 10만원씩 263억원을 지원하는 등 따뜻한 마음을 키우는 인성교육에 796억원을 반영했다. 또 학생의 기본적인 학습역량을 높이고 학생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1608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교과보충프로그램 230억원, 1수업 2교사제 49억원, 학습지원튜터 운영에 76억원 등을 반영해 학생 개별 맞춤형 학습을 지원하고, 미래 교육정책 변화에 대비해 인공지능ㆍ메이커 교육 등으로 학생 주도성에 바탕을 둔 창의융합적 교육과정을 위해 706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아울러 중ㆍ고등학교 신입생에 1인당 30만원의 교복 구입비를 지원해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우선배려학생에 학용품ㆍ부교재비,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 지원 등 학생의 여건과 상황에 맞는 교육복지를 위해 1088억원을 편성했다. 유아교육의 공공성을 높이고,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치료지원비를 월 14만원으로 2만원 인상 지원하는 등 균등한 교육기회 제공과 미래생활 역량 강화를 위해 2068억원을 지원한다. 학기중 급식비는 지난해보다 단가를 10% 인상해 2086억원을 투입하고, 학교급식시설 개선, HACCP위생관리시스템 확충, 학교방역 전담인력 지원 등에 342억원을 투입해 학교급식을 강화한다. 학생의 기초체력 향상과 보건ㆍ건강 증진 등에 695억원을 반영하고, 학생이 주인이 되는 미래학교 조성을 위해 전 교실 무선랜 구축과 스마트기기 지원 등의 에듀테크 활용 수업에 529억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등 미래형 학교공간 조성에 지난해보다 2074억원이 늘어난 4375억원을 집중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이외에도 학생봉사활동, 학부모 참여 교육, 지자체 협력의 대구미래교육지구 운영과 학교 공통업무의 통합 관리를 위한 학교지원센터 신설 등으로 서로 존중하며 소통하는 학교문화 조성과 참여하고 만들어가는 교육공동체 운영을 위해 405억원을 반영했다. 강은희 교육감은 “대구 학생들이 올바른 인성의 바탕 위에 탐구, 소통, 도전정신 함양 등 학생이 주도적으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며 “향후 불확실한 재정 상황에 대비하고, 교육공동체의 다양한 교육 수요에 부응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재정운영 여건 마련에도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2023년도 예산안은 제297회 대구시의회 정례회에서 심사를 거쳐 12월 15일 본회의에서 최종 의결될 예정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