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영열기자]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가짜 뉴스를 퍼뜨리는 사람에 대해 반드시 끝까지 책임을 묻는 풍토가 정착돼야 한다"고 밝혔다.한 장관은 8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에서 김병욱 국민의힘 의원이 가짜뉴스와 음모론 등에 대한 생각을 묻자 이같이 말했다.한 의원은 이어 `허위사실과 괴담에 대해 법이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도록 법 개선을 부탁한다`는 김 의원의 말에 "공감한다"고 했다.한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은 지난달 24일 김의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종합감사에서 제기한 `청담동 술자리 의혹`에 대한 입장 표명과도 연결된다.김 의원은 제보 내용을 제시하며 한 장관이 지난 7월 19~20일 윤석열 대통령, 법무법인 김앤장 변호사 30명과 함께 청담동 고급 술집에서 심야 술자리를 가진 것 아니냐고 물었다. 당시 한 장관은 "난 다 걸겠다"는 등 김 의원의 주장을 강력히 부인했고, 김 의원은 구체적인 내용의 제보가 들어와 사실관계를 확인한 것이라고 맞섰다.한 장관과 김 의원은 전날 법사위 전체회의에서도 관련 의혹으로 공방을 벌이기도 했다.한 장관은 "마약범죄 단속에 집중하느라 이태원 참사를 막지 못했다는 지적이 (언론에서) 나온다"는 김 의원의 지적에 "당연히 허무맹랑한 유언비어가 아니겠느냐"며 반박하며, "의원님은 맨날 던지고 마시지 않느냐"며 "저한테 얘기하는 게 청담동 한동훈 술자리라면서, 매번 던져놓고 언론에서 받게 되고 주워담지도 못 하고 해결도 못하시고 사과도 안하시고"라고 목소리를 높였다.김 의원은 "내가 왜 사과를 해야하냐"고 했고, 한 장관은 "(내가) 아직도 그 자리에 있었다고 생각하시냐. 왜 말씀이 없으시냐"고 되묻기도 했다.한 장관은 지난달 25일 김 의원 등에 대해 민·형사상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고, 이어 같은 달 27일 개인 자격 입장문을 내 "저는 `허위사실 유포의 피해자`로서 `민주당 차원의 진솔한 사과와 책임있는 조치를 요구한다"고 하는 등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