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경철기자]한국행정학회가 주관하고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 후원하는 전문가 토론회가 지난 4일 상연재 서울역점에서 ‘고준위방폐물 관리의 수용성 확보 방안’이라는 주제로 개최됐다. <사진> 이번 토론회는 최근 고준위방폐물 관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3개의 특별법안이 발의된 상황에서 인문사회학적 해법을 모색키 위해 마련됐다. 이날 토론회는 △고준위방폐물 관리 특별법안, △핵심의제 고찰에 관련된 주제발표, △패널토론에서 각 분야 전문가들이 심도 있는 논의 등이 진행됐다. 먼저 개회식은 원숙연 한국행정학회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박태현 산업통상자원부 과장과 차성수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이사장의 축사로 진행됐다. 이어 첫 번째 ‘지속가능발전 측면에서에서 바라본 고준위방폐물 관리 특별법안’ 발표에서 정재학 경희대 교수는 특별법 제정 필요성, 외국의 정책수립 및 입법사례 등에 관해 설명하고, 공론화 논의사항 존중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특별법과 기본계획 간의 상호 연계성을 정교하게 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안했다. 두 번째 ‘성공적 고준위 방폐물 관리를 위한 핵심의제 고찰과 제언’ 발표에서 박형준 성균관대 교수는 지난 재검토위원회의 시민참여형 공론조사, 제도설계 시 고려할 핵심의제 및 의견수렴 결과 등에 관해 발표하고, 관리정책에 대한 정부책임성과 정책연속성 강화와 객관적이고 투명한 부지선정 절차의 법제화 등을 제언했다. 패널토론에서는 각 분야 전문가들이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해 수용성 확보방안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대부분 토론패널이 고준위방폐물 관리는 과학기술과 인문사회적 접근이 접목돼야 하는 사안으로 분야 간 융합과 협업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구축이 필요하고, 현세대뿐만 아니라 미래세대에게도 영향을 미치므로 세대 간 형평성의 관점에 접근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아울러 성공적인 고준위방폐물 관리시설 부지확보를 위해서는 관리시설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가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투명한 정보공개, 민주적 절차 설계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원숙연 회장은 “이번 전문가 토론회를 계기로 고준위방폐물 관리에 대한 사회적 공론의 장이 펼쳐지기를 기대하며, 향후 과학기술계와의 협업·소통을 전개해 나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