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용묵기자] ‘바다에는 이순신, 육지에는 정기룡이 있다’ 임진왜란 당시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영웅으로 칭송받던 정기룡 장군의 일대기가 소설로 복원 돼 독자들의 관심과 눈길을 끌고있다. 정기룡 장군은, 그동안 베일에 가려져 있던 인물로, 분명히 실존했음에도 믿기 어려운 전설적 일화들이 뒤섞이면서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지지도, 역사적으로 비중 있게 조명받지도 못했다. 이번 복원된 장편소설 《정기룡》(전3권)은, 그동안 우리 역사가 주목하지 않았던 국난의 영웅 정기룡의 일생을 원고지 6천매가 넘는 생동감 넘치는 대서사로 되살려냄으로써 대하 역사소설이 갖는 장대한 소설적 재미와 전장의 전술과 지략을 통해 난세를 헤쳐나가는 지혜를 선사한다. 또한 엄격한 신분제 사회이던 조선시대에 병영의 노비였던 정기룡은 빈천한 출신으로 온갖 역경과 고난을 극복하고, 양민의 신분을 되찾아 무과에 급제한다. 이후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거치면서 수많은 전투에서 큰 공을 세워 경상우도병마절도사, 삼도수군통제사에 오른 뒤 마침내 정1품의 보국숭록대부라는 최고 벼슬에까지 이른다.  기록으로 확인되는 그의 극적인 삶은 국가적 영웅으로 추앙받기에 모자람이 없으나, 전후 공신록에 2등 공신이라 할 수 있는 선무원종공신 1등에 올랐을 뿐, 실록 등 공식 기록에서는 그의 이름을 거의 찾아볼 수 없다. 그의 출세 이후 증조부까지 3대가 종1품 의정부좌찬성 등 종2품 이상의 지위에 추증된 사실만 보더라도 그 공에 비해 역사에서 잊힌 존재가 된 것은 큰 의문이 아닐 수 없다. 오히려 구전을 통해 그에 관한 일화가 갖가지 설화의 형태로 증폭되며 경외와 흠모의 대상으로 전해져 왔다. 《태종무열왕》 《유기》 《북비》 등 그동안 굵직한 역사 대하소설을 집필해온 소설가 하용준은 역사가 제대로 평가하지 못한 한 인물의 삶에 주목하고, 원고지 6천3백 장에 걸쳐 정기룡 장군의 일생을 복원했다. 저자는 정밀한 고증을 통해 연전연승 왜군을 격파한 장군의 뛰어난 전술과 지략을 실감나게 눈앞에 펼쳐 보인다. 또한 당시의 언어와 제도, 민간과 관료 사회의 풍속과 문화 등에 대한 상세하고, 생생한 묘사는 이 작품을 읽는 또 다른 재미라 할 수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