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사건이 일어나면 남자는 사건별로 이해를 하고 결론을 내립니다.그러나 여자는 한 사건을 다른 사건과 연계해서 생각하고 결론을 내리며 대응합니다.아침에 다투고 문을 세게 닫고 나간 남편은 하루 종일 바깥세상 속에서 살며 다 잊어버리고 그 사건은 그 사건 나름대로 정리를 해버립니다.그러나 아내의 경우 먼저 일어난 사건이 그대로 연계되어 다음의 사건 대응에도 영향을 미칩니다.그래서 퇴근 후 집에 돌아온 남편은 여느 때처럼 아내를 안으려한다면, 아내는 노골적으로 거부의 의사를 표명할 것입니다. `아침에 날 무시하고 문 쾅 닫고 나갈 때는 언제고, 지금 또 안아주는 건 뭐냐?`하고 두 사건을 연계시켰던 것입니다.그러나 남편에게 있어서 `아침 사건은 아침의 일이고, 저녁은 또 저녁의 다른 일일 뿐이었습니다. 많은 부부들이 이런 경우를 겪었을 것입니다.싸우고 난 뒤 아내는 아직 그 일을 가슴에 품고 있는데 남편은 그런 일이 있었냐는 듯이 굴 때 아내는 남편이 싫어집니다.부부 싸움을 한 다음날, 아내는 한숨도 못 잤는데 남편은 마치 아무 일도 없었던 듯이 아침에 "국이 짜네”, “오늘 늦을거야", "날씨가 춥나?"라고 천연덕스럽게 말합니다. 아침에 화를 내고 나가고서도 낮에 전화를 걸어 그에 대한 말은 일언반구도 없이 "오늘 모임 있는 거 알지? 늦지 말고나와" 혹은 "친구들이랑 집에 갈 거야", "주민등록등본 필요하니 한 통만 떼어놔" 하는 것입니다.그러면 아내들은 그렇게 남편이 미울 수가 없고 정말 그 순간만은 온갖 정이 떨어진다고 합니다.언젠가 남편 회사 직원이 회사 건물 앞에서 아내를 만나 무엇인가를 건네받는 모습을 보았는데 그 아내가 돌아서 울면서 가길래, 그 직원을 불러 물어보았더니 필요한 서류를 집에 두고 와서 갖다달라고 했답니다. 남편이 서류를 갖다달라는 게 억울해서 우는 아내가 어디 있겠는가 싶어 그 부부를 저녁식사에 초대했답니다.직원이 가정적으로 편안해야 일도 잘하는 법이기에 그렇답니다. 이야기를 들어보니 지난밤에 크게 싸웠는데 남편이 그에 대해 어떤 사과나 어떤 위로의 말 한마디 없이 서류를 갖다달라고 한 것입니다. 그 부부가 싸운 까닭은 어찌 보면 사소한 일이었지만 아내로서 자존심이 걸린 문제였습니다.“제 말을 제대로 들어준 적이 없어요. 양말을 바로 벗어서 세탁물 통에 넣어달라고 해도, 읽은 책이나 신문을 아무 곳에나 두지 말라고 해도 늘 그래요.”결정적인 것은 아내가 수요일과 금요일마다 학원 파트타임강사로 일하는데, 그때만큼은 일찍 들어와서 아이와 있어 달라고 부탁했는데 직원이 그 약속을 잘 지키지 못한 모양이었습니다.그래서 그 부부는 서로의 마음에 상처를 내는 말을 하면서 크게 싸웠는데 아침에 일어나서도, 회사에 나가서도, 남편은 아내의 마음을 달래주는 말 한마디 없었던 것입니다. "제 말을 이웃집 강아지 소리쯤으로 여기는 남편이 정말 싫어요. 제 감정이나 요구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으니 절 소중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 같아요. 제가 이 사람한테 뭘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하찮은 존재인가보다 하는 자괴감까지 들어요."여자는 남자가 자신을 소중하게 여기고 있다는 느낌을 받고 싶어합니다.그러나 자신의 요구가 번번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자신이 무시당하고 있다고 느끼는 것입니다.“얘기하는 것도 한두 번이지 자꾸 말하면 바가지 긁는 아내가 되는 것 같아 자존심 상해요. 실제로 이이는 제게 잔소리 좀 그만하고 바가지 좀 긁지 말라고 하죠. 그런 말을 들을 때마다 제가 그의 관심을 구걸하고 있다는 생각도 들고요.”결국 그런 것이 쌓여 싸움으로 이어졌고, 그 싸움이 지난 뒤 아내는 깊은 상처를 받았는데 남편은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서류를 갖다달라고 했으니 울만도 했습니다. 그가 아내의 마음을 먼저 헤아려주고 싸운 일에 대해 자신의 감정상태를 떠나 사과하고 다시 잘해보자고 애정 어린 배려부터 했다면 아내는 그래도 자신이 아직은 필요한 존재라 느끼며 서류를 기꺼이 가져다주었을 것입니다.남자는 사건을 하나하나 따로 취급하지만 여자는 그 사건을 다른 사건에 연계시킨다는 사실을 알아두어야 합니다.남녀 간의 차이를 알고 상대방의 마음을 읽고 먼저 배려해주는 것 그것이 부부간에 필요한 성숙한 사랑입니다.어머니 여러분, 당신은 축복의 통로입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