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박세명기자]봉화군과 청량산의 유구한 역사문화를 간직하고 있는 청량산박물관이 리모델링 공사를 말끔하게 마치고 최근 전국관광객과 지역민을 위해 재개관했다고 밝혔다.청량산은 명승 23호이자 산림청이 지정한 100대 명산 중 하나로 수려한 자연경관과 기암괴석이 장관을 이뤄 예부터 소금강이라 불리며 많은 관광객이 찾는 명소다.청량산박물관은 지난 2004년 개관후 농경문화전시관과 봉화인물역사관이 건립돼 봉화군의 역사와 인물, 민속자료의 전시, 연구 및 교육 등이 이뤄지고 있다.그동안 청량산은 지역민에게는 봉화의 역사, 문화에 대한 이해 함양, 탐방객에게는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했지만 전시시설 노후화로 인해 전시효과가 반감됐다.지난 2017년 문광부가 주관한 공립박물관 건립지원 사업 공모에 선정돼 국·도비 등을 지원받아 2020년까지 3년간에 걸쳐 청량산박물관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했다. 청량산 박물관은 상설전시실, 수장고 등이 전면 개편됐고, 기존 시설에 없었던 어린이 체험실, 기획전시실, 봉화 아카이브 등은 새롭게 조성을 했다는 것이다.△청량산 역사와 문화를 최신 디지털 시설로 관람하고 체험!청랸산박물관 상설전시실은 지상 1층에 위치한 제1전시실은 청량산의 전반적인 현황을 한눈에 볼 수 있고 2층의 제2전시실은 유산문화를 주제로 꾸며졌다.제1전시실은 청량산의 자연생태 및 불교유적과 관련 된 자료를 비롯해 김생·최치원·공민왕 등의 청량산의 주요 역사인물 자료와 관련된 유물들이 전시돼 있다. 또한, 인터렉티브 터치월, 모형맵핑, 증강현실(AR) 등 최신형 디지털 시설을 통해 관람객들이 직접 참여하며 흥미롭게 관람할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제2전시실은 조선시대 선비들이 산을 유람하며 수양과 강학을 행한 문화행위로서 다양한 물품을 비롯한, 이황과 주세붕 관련 자료, 유산기록 등을 전시하고 있다.이와 함께 청량산의 자연과 주요 명소를 박물관 안에서는 방문한 관광객들이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도록 가상현실 전시와 실감영상 체험의 공간으로 구성됐다.여기에다 신설된 1층 어린이 체험실은 아이들과 함께 가족단위 관람객을 위한 다양한 체험공간과 놀거리를 배치해 아이들이 즐기며 청량산을 배우도록 마련했다.특히, 9세 이상 어린이와 청소년은 청량산의 답사와 전통공예, 클레이 공예 등의 체험을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사전전화 예약 신청 등 인원을 제한해 운영한다. △지역주민들과 더욱 밀접하게…전시공간은 물론 정보 탐색 공간도 갖춰!지역주민들의 문화적창조성을 표현할 공간제공을 위해 조성된 1층 기획전시실은 상설전시에선 볼 수 없는 봉화와 관련된 다양한 기획전시를 연차별 개최할 예정이다. 최근에는 경상북도 한국화가 모임 묵연회를 초청해 청량산의 비경을 담은 실경산수화 초청기획전 `청량산에 마음 머물다`를 개최해 관광객들로부터 관심을 끌었다. 3층에 위치한 봉화 아카이브 공간 전면은 청량산이 펼쳐져 계절별로 청량산의 비경을 조망할 수 있고 봉화의 주요관광명소와 문화재 등의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봉화 선비와 농촌의 생활상 엿보다! 봉화명현실과 농경문화전시관기존 봉화명현실과 농경문화전시관은 2층 전시실을 통해 관람이 가능하고 봉화명현실은 봉화선비 절개, 효, 절의, 지역출신 독립운동가의 활약상을 연출해 놓았다.봉화농경문화전시관은 1층의 농경역사실과 2층의 농경생활실로 구분돼 있고. 농경역사 실은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농경의 역사가 개괄적으로 설명돼 있다. 또, 계절별 농경 관련 민속품 전시는 물론 봉화농경의 특징과현황. 농경생활실은 봉화의식주 생활, 세시풍속, 신앙 등을 디오라마와 패널, 영상을 통해 소개했다.임기수 소장은 "이번 재개관을 통해 조선시대 유산문화를 소개하는 전시기관 등 다양한 문화사업을 통해 지역 제일의 문화 거점시설로 거듭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박물관 관람료는 무료, 관람시간은 오전 9시~오후 6시까지 휴관일은 매주 월요일과 설날, 추석연휴 월요일 공휴일이면 정상운영, 화요일 휴관한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