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종태 기자] 오는 2026년 자치경찰 이원화가 전면 시행될 전망이다.행정안전부는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총리 소속 자문위원회인 경찰제도발전위원회 내 `자치경찰분과위원회`를 출범하고 첫 회의를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분과위원회는 민간위원과 정부위원 각 3명씩 총 6명으로 구성된다.민간위원은 경찰청이 추천한 경찰제도발전위원회 위촉직인 김선택 고려대 교수 및 강기홍 과기대 교수, 이상훈 대전대 교수다. 정부위원은 경찰청 자치경찰담당관과 행안부 지방자치분권실 자치분권제도과장·경찰국 자치경찰지원과장이다.위원장은 민간위원 중에서 선출할 예정이다.분과위원회는 윤석열정부의 국정과제인 자치경찰 이원화 및 제도개선 방안을 중점적으로 검토한다.특히 내년 세종·강원·제주에서 시범 운영할 이원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하고 그 결과에 따라 2026년 전국적으로 전면 시행하는 방안을 검토하게 된다.현행 자치경찰제는 경찰사무를 국가경찰사무와 자치경찰사무로 나누되, 국가경찰이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지휘를 받아 자치경찰사무를 수행하는 `일원화` 모델로 추진 중이다. 하지만 경찰 권한의 분권화와 주민밀착형 치안 서비스 제공이라는 자치경찰제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을 완전히 분리하는 `이원화`를 추진키로 한 바 있다.또 현행 일원화 모델 하에서 개선이 필요한 과제를 발굴·추진한다. 개선 과제로는 시·도자치경찰위원회 인사 권한의 실질화 방안과 재정 지원 확대 방안 등이 포함된다. 행안부와 분과위원회는 검토 과정에서 자치경찰사무의 주체인 시·도자치경찰위원회, 현장경찰관, 관련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간담회 등을 개최한다는 방침이다. 한창섭 행안부 차관은 "자치경찰이 출범한 지 1년이 지났지만 현행 일원화 모델의 한계로 인해 주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도출하는데 아쉬움이 있었다"며 "앞으로 분과위원회에서 지역의 특수성이 반영된 주민 중심의 자치경찰제 개선방안을 마련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