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영열기자]기술보증기금(KIBO)에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저탄소・친환경 경영과 관련 실태조사 결과, 탄소중립 관련 준비가 되어 있다고 응답한 업체는 3.2%에 불과했다. 탄소중립 경영을 위한 평균 투자 금액은 4.34억원이며 향후 평균 10.52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답했다. 탄소중립 경영 전환 시 애로사항으로는 비용 부담과 정보 및 지식 부족이 많았고, 정부의 저탄소/친환경 제조 전환을 위한 자금 지원, 교육 및 정보 제공, 친환경제품 개발 R&D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같은 사실은 기술보증기금(KIBO)가 국정감사를 위해 구자근 의원(국민의힘, 구미시갑)에게 제출한 ‘2021년 중소기업 저탄소・친환경 경영실태 보고서’(2021.12)를 통해 밝혀졌다.해당 조사는 중소기업벤처부 산하 기술보증기금(KIBO)에서 중소기업의 저탄소・친환경 경영에 대한 대응현황 및 지원방안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위해 2021년 12월 실시했다. 조사대상은 제조업을 영위하는 종사자수 10인 이상의 기업 3724명을 대상으로 이메일과 모바일을 통해 실시했다. △탄소중립 및 저탄소・친환경 경영 관련 인지도에서는 높은 인지도(알고 있음 62.5%)와 함께 탄소중립 대응에 대해 필요하다(74.6%)로 응답했다. △탄소중립 선언과 온실가스 감출 정책 추진 등 탄소중립 정책이 경영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부정적 영향이 36.9%, 긍정적 영향이 41%로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탄소중립 대응 준비와 관련해서는 준비가 되어 있다고 응답한 업체는 3.2%, 실제 준비 중이라고 응답한 업체는 24.4%에 불과했다. 전혀 준비가 없는 업체가 28.3%, 향후 준비할 계획이 44.1%로 나타났다. △탄소중립 경영에 필요한 금액의 경우 준비가 되어 있다고 응답한 업체의 경우 현재까지 평균 투자 금액은 4.34억원이라고 밝혔으며, 향후 탄소중립 경영에 필요한 평균 금액은 10.52억원이라고 응답했다. △탄소중립 경영 전환시 애로사항의 경우 ‘비용 부담’이 62.5%, 정보 및 지식 부족이 23.7%, 기술 및 노하우 부족 4.1%, 정부의 지원제도 부족 3.6%, 전문인력 부족 3.6% 등으로 응답했다. △탄소중립 투자 필요한 1순위 부분에 대해서는 고효율 생산설비 도입이 32.3%, 신・재생 에너지원 시설 구축 15.6%, 친환경수송수단으로 교체 14.9%, 저탄소・친환경 기술제품 개발 9.9%, 저탄소 공정전환 7%, 생산설비 외 에너지 다소비기기의 교체 6.5%, 전문인력 양성 3.2% 등으로 응답했다. △탄소중립 및 저탄소・친환경 경영을 위한 정부지원 필요성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다고 응답(보통 19.9%, 필요하지 않음 2.5%)했으며, 가장 선호하는 정책으로는 저탄소/친환경 제조 전환을 위한 자금 지원(58.8%), 교육 및 정보 제공(19.2%), 친환경 제품 개발 R&D 지원 14.3%, 인증서 획득 지원 2.9%, 컨설팅 지원 2.9% 등으로 나타났다. 구자근 의원은 “중소기업의 경우 자금력이 풍부한 대기업과는 달리 탄소중립을 위한 준비가 부족할 수밖에 없는 만큼, 향후 무역분쟁 방지와 산업기술 경쟁 제고를 위해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