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박동수기자]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김형동(국민의힘, 안동·예천) 의원은 17일, 국회에서 열린 고용노동부 산하기관 국정감사에서 경북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를 도청신도시 인근에 신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은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3조(국가와 지자체의 책임)와 제19조(취업 후 적응지도), 동법 시행령 제20조(취업 후 적응지도 지원)에 따라 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서울, 경기,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총 6개소에 운영 중이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장애인 취업자 수는 경북(6만2862명)이 서울(11만1763명), 경기(19만4897명), 충남(6만7770명)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15세 이상 장애인 인구수 또한, 경북(17만8319명)은 서울(38만5485명), 경기(55만4220명), 경남(18만4696명)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경북 지역의 15세 이상 장애인 고용률은 35.3%로 전국 평균 34.6%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북 북부에 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가 없어 경북에 거주하는 장애인 근로자는 100km 넘게 떨어진 대구 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로 가야하는 실정이다.특히 울진의 경우, 대구 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까지 230km(2시간 40분 소요)나 이동해야 하는 등 지리적 접근성이 열악해 경북 북부지역의 장애인 근로자 다수가 고충 및 심리상담, 법률 자문, 각종 교육 이수와 애로사항 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해 큰 불편을 겪고있다. 김형동 의원은 “경북에 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가 없어, 경북 장애인 근로자가 맞춤형 장애인근로자지원 프로그램을 제대로 지원받지 못하고있다”면서, “지역별 사업체 수와 장애인 취업자 수, 그리고 연령별 장애인 현황과 장애인 근로자의 이동 거리 등을 고려한다면, 도청신도시 인근에 경북 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 신설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이에 대해 조향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이사장은 “지방에 공단 지사 설치도 추진하고 있는 만큼,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