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신일권기자]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방역 당국이 시험장 코로나19 확산 예방에 대한 계획을 논의했다.1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올해 11월17일 실시 예정인 2023학년도 수능은 총 50만8030명이 응시할 예정"이라며 "지난 2년간의 수능과 마찬가지로 감영병 확산을 예방하고 수험생이 안정적으로 시험을 치를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이번 시험은 지난 2021학년도, 2022학년도에 이어 코로나19 유행 상황 속에서 치러지는 세 번째 수능이다.정부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확진 수험생의 응시를 보장한다. 다만 이들은 일반 수험생과 분리된 별도의 시험장에서 시험을 치르게 된다.중대본에 따르면 교육부와 관계부처는 수능 2주 전부터 관계기관과 `공동 상황반`을 운영한다. 격리대상 수험생을 사전에 파악하고 이들을 각 시험장에 신속하게 배치하기 위해서다.중대본은 "마스크 착용, 점심시간 3면 종이 칸막이 설치, 주기적인 환기 등 시험장 방역조치에도 만전을 기할 예정"이라며 "보다 상세한 수능 방역 대책은 관계부처 추가 논의를 거쳐 추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김성호 중대본 제2총괄조정관(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수험생들이 안심하고 수능에 응시할 수 있도록 `2023학년도 수능 코로나19 방역 대책`을 수립해 추진할 계획"이라며 "오늘 중대본 회의에서 관계부처 논의를 거쳐 효과적인 방역 대책을 수립하고 다음 주에 상세히 설명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