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이태헌기자]국가 및 시도의 지정·등록문화재가 증가하면서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해야 할 문화재가 1만5000건에 달하는 가운데, 문화재 전담 인력 부족과 문화재 외에 다양한 업무를 담당하는 일반행정직의 장기적인 경험축적, 업무연속성 확보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승수 의원(국민의힘·대구 북구을)이 12일 문화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9월말 기준 17개 시·도 광역단체의 문화재 관리인력 총 367명 중 문화재 관리 전문인력이라고 할 수 있는 학예직은 전체 19.9%인 73명이고, 228개 기초단체는 총 1497명 중 248명(16.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반해, 일반행정직과 기술직은 광역단체 281명(76.6%), 기초단체 1201명(64.4%)에 이르고, 학예직 공무원이 단 한명도 없는 지자체도 91곳인 것으로 확인됐다.이와 관련해 문화재청은 지자체의 문화재 관리 담당자의 역량 강화를 위해 합동설명회 및 워크숍을 실시하고 있으나, 최근 5년간 단 9회만 개최하는데 그쳤고 문화재 관리인력 총 1864명 중 전체 34%인 634명만 참여했다.김승수 의원은 “지방자치의 확대와 자치분권화 추진으로 문화재 보호와 관리에 대한 지자체의 역할과 책임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현재 지자체의 문화재 관리인력의 구성원이 대다수가 일반행정직 및 기술직 공무원들이고 이마저도 순환보직으로 문화재 관리 역량 강화를 기대하기에는 역부족이다”고 지적했다.김 의원은 “문화재청이 지자체 문화재 관리인력의 역량 강화를 위해 설명회나 워크숍을 실시하고 있으나, 개최 횟수가 부족하고 참여하는 인원 수도 상당히 적다”며 “이들 문화재 담당 공무원의 전문성 재고를 위해 직무교육과 전문교육을 확대하고 설명회 개최 횟수를 늘리는 등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