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개최된 국회 행안부 국정감사에서 태풍 ‘힌남노’ 내습에 따른 포항제철소 침수피해 및 냉천 범람 원인을 두고 여야 간 논란이 있었다.국민의힘은 냉천 범람의 원인이 포스코 부지확보 차원에서 냉천 유역 변경을 실시한데서 비롯됐다고 주장한 반면, 민주당은 냉천 공원화사업으로 하천 폭이 좁아져 물길이 막히면서 침수피해를 키웠다고 강조했다.이에 포항시장은 “일부 언론에서 지적하는 냉천 고향의 강 친수사업과 관련, 이 사업을 통해 통수 단면을 더 늘렸기에 사실과 맞지 않다”면서, “냉천 친수 사업을 통해 덤프트럭 9천대 분량인 9만 루베의 흙을 준설해 초당 통수량을 오히려 늘렸다”고 설명했다.이 같은 논란 속에 냉천이 범람한 것은 시간당 100mm의 기록적인 폭우 때문이라는 정황이 나오고 있다. 특히 평소 34.3cm에 불과한 포항항 해수면 수위가 142cm까지 솟아오르면서 냉천에서 바다로 흘러가야 하는 빗물이 역류하며 마침내 하천이 범람하는 사태로 이어졌기 때문이다.상황이 이렇게 되자 국가 차원에서 기후온난화로 인한 기상이변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포항시장은 국정감사장에서 ”기상이변에 따른 자연재해가 포항만의 문제가 아니라 다른 곳에도 또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집중호우와 만조에 대비한 재해대응 시스템 개선 및 지원 등에 국가적인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경북대 토목공학과 이영재 교수는 “40년 전에 국토부에서 정한 재해 설계기준이 여전히 그대로 적용되다보니 포항 냉천 범람 등 기상이변 사태에는 대처하지 못한 채 꼼짝없이 침수피해를 입었다”며 “따라서 이 설계기준을 대폭 상향해 지구 온난화 등으로 불어 닥치는 자연재난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이날 국감장에는 정부가 하천정비를 소홀히 한 것도 침수피해의 또 다른 원인으로 지적됐다. 정부가 국토부와 환경부가 나누어서 물 관리를 해오다 지난 2018년부터 환경부가 일원화해서 관리해 오면서 포항 오천 항사댐 건설이 지연된 것도 도마에 올랐다.국민의힘 이만희 의원은 “포항 오천 냉천 상류지점에 항사댐 건설이 추진돼 오던 중 물관리 일원화로 인해 업무가 환경부로 이관되면서 댐건설이 늦어졌고, 마침내 냉천 하류지역이 침수피해를 입었다”고 말했다.포스코 부지확보 차원에서 냉천의 유역 변경으로 하천이 범람됐다는 여당의 주장에 대해 최정우 포스코 회장은 “냉천 유로 변경은 1970년대 초반이었는데 그 이후 50여 년 동안 범람이 없었기 때문에 특별한 대비가 없었던 것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태풍 ‘힌남노’는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남겼다. 이번 피해를 통해 정부와 지자체는 기상이변에 따른 자연재해 대비에 철저를 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