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은 한글날은 한글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세종대왕의 성덕과 위업을 기리기 위한 기념일이었다. 세종대왕 28년 1446년, 한글을 반포한지 576돌을 맞은 날이었다.현재의 한글날은 1940년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고, 여기에 책이 발간된 때가 음력 9월 상순인 것으로 기록된 게 확인됐는데 음력 9월 10일을 그레고리력으로 환산한 것이 10월 9일이기 때문이다.한글날을 처음 기념한 것은 1926년 음력 9월 29일 지정된 `가갸날`이었다. 당시 일제 식민지하에서 억압된 삶을 살고 있던 우리 국민들을 위해 한글학자들은 민족정신을 되살리기 위해 한글날을 제정하여 기념하고자 했다.‘가갸날’이라는 이름을 지은 것은 당시에는 ‘한글’이라는 말이 보편화되지 않았고, 한글을 배울 때 ‘가갸거겨...’ 하는 식으로 배웠기 때문이다.‘가갸날’은 1928년 ‘한글날’로 이름을 바꾸게 되었고, 날짜도 여러 번의 변경 끝에 1945년 광복 후에야 비로소 10월 9일로 확정되었다.국보 제70호로 지정된 훈민정음 해례본에는 한글 창제의 이유와 창제 원리, 글자를 만들어 사용하는 방법 등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영국의 옥스퍼드대학에서 세계의 모든 문자를 두고 합리성, 과학성, 독창성의 기준으로 순위를 매긴 적이 있었는데 그때 한글이 당당하게 1위를 차지했다. 세계의 언어학자들이 한글의 우수성을 인정한 것이다.한글의 우수성과 함께 훈민정음 서문에 담긴 세종의 애민사상의 발로는 가장 배우기 쉬운 글자를 만들어 누구나 쉽게 지식과 정보의 세계에 접할 수 있고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했다는 것이다.한때는 10월에 공휴일이 많다는 이유로 법정 공휴일이 아닌 기념일로 바꾸면서 공휴일에서 제외된 적이 있었다. 2005년 ‘한글날 국경일 지정 법안’이 통과되면서 2006년부터는 기념일이 아닌 국경일로 바뀌었지만 공휴일이 되지는 않았다.그러다 2012년 가을에 다시 한글날을 공휴일로 지정하는 법안이 발의되면서 그해 다시 한글날이 공휴일로 지정됐다. 한글날은 이렇게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오늘에 이르렀다. 1946. 10. 9. 조선말 큰 사전을 펴낸 이극로 박사가 쓴 당시 학생신문에 기고한 글을 보면 “민족이 있을진댄, 말이 있을 것이요, 말이 있을진댄, 반드시 글이 있어야 한다. 정신과 생명이 있을진댄 그 민족은 영원불멸일 것입니다”고 말한 대목이 나온다.말은 민족의 정신이요, 글은 민족의 생명인 것이다. 우리 민족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문자를 가진 나라다. 그러나 아름다운 우리말을 두고 외래어를 지나치게 많이 남발하고 있고, 법률에 관한 내용들은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한자말로 되어 있어 생활에 많은 불편을 주고 있다. 지금부터라도 우리말을 사용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