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영열기자]`비리 온상`으로 불릴 정도로 신뢰가 추락한 전국 새마을금고를 개혁하기 위한 정책협의체가 본격 운영된다.행정안전부와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오는 30일 정책협의체 발족식 겸 1차 정기회의를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이 협의체는 새마을금고의 신뢰를 되찾기 위한 민관 소통창구다.행안부 지역경제지원관·지역금융지원과장과 중앙회 전무이사·지도이사·금고감독위원장이 기본 구성원으로 참여하고 안건별로 민·관 관계 및 관련자가 추후 합류하게 된다.매월 정례적으로 회의를 갖고 새마을금고 사업 및 주요 현안 공유, 취약계층 지원 및 지역 사회공헌사업 활성화, 정책·제도 개선사항 점검·보완 등을 수행하게 된다.첫 회의에서는 중앙회 부서별 주요 현안을 보고하고 지난 8월 행안부가 시행한 `새마을금고 건전성 강화 종합대책`의 이행 상황을 살펴본다. 직장 내 괴롭힘 근절과 조직문화 개선을 위한 의견도 나눈다.김광휘 행안부 지역경제지원관은 "최근 새마을금고에 대해 국민의 걱정이 크다"면서 "특단의 대책으로 만든 협의체를 통해 중앙회와 금고가 상호 긴밀하게 협력해 두터운 국민 신뢰를 쌓아나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새마을금고는 `새마을금고법`에 의거해 설립된 비영리 금융기관이다. 지난 1963년 5월 경남 산청에서 일본 유학파 출신 권태선 씨 등 마을 주민이 만든 `하둔신용조합`이 시초다.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신용조합이 확산되자 새마을운동의 취지와 잘 맞는다고 판단한 정부는 1973년 새마을금고로 명칭을 바꾸고 중앙조직인 `새마을금고연합회(2011년 새마을금고중앙회로 개칭)`도 설립해 지원에 나섰다.현재 새마을금고는 지역이나 직장에서 설립한 개별 단위금고와 이들을 통합 관리하는 중앙회(본부 및 지역본부 13곳)로 이뤄져 있다. 올해 3월 기준 전국 1297개 단위금고가 있으며, 외환위기 직전인 1997년 2743개였던 단위금고는 공적자금 투입 없이 구조조정이 마무리돼 지금까지 안정적으로 운영돼 왔다.새마을금고의 총자산은 253조6천억원이다. 금고 임직원은 2만9671명, 거래자는 2169만명(정회원 839만명, 일반거래자 1330만명)에 이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