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신일권기자]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방류반대 포항시민행동(경북생명의숲 등 6개단체 공동대표)은 9월 28일 포항시자원봉사센터 회의실에서 일본정부가 내년부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에 따른 공동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유관기관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포항YMCA 정기석 사무총장의 사회로 추진경과, 참석자 소개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방류 관련 한동대 도형기 교수의 발표와 참여기관·단체의 입장 및 대응준비상황 공유 순으로 진행했다. 참석기관은 경상북도청, 경상북도의회, 포항시청, 포항시의회, 포항지방해양수산청, 포항해양경찰서, 구룡포수협, 포항테크노파크, ㈜한일원자력, 포항환경운동연합, 포항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경북생명의숲, 녹색소비자연대, 포항YWCA, 포항YMCA 등 15개 기관·단체이다.한동대 도형기 교수는 “국내외 전문가들의 논문과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은 방사능 오염수를 처리할 방법 중 비용이 가장 적게 들기 때문에 해양방류를 결정하였고, 후쿠시마 사고 후 우리나라 수산물의 방사능이 원산지별, 지역별로 어떤 상황인지 파악할 수 있는 정보가 없다. 일본 내에도 해양방류에 대한 찬반 논쟁이 있으니 일본과 해외자료를 파악하여야 한다.”며 “정확한 정보 공유를 위해 지자체에서 시민들을 위한 정보공개와 공유의 활동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경상북도 관계자는 “현재의 방사능 수치는 해수부, 원안위 등의 검사와 모니터링 상 문제가 없어서 방사능의 위험성에 대한 것보다는 수산물 소비의 저하로 이어질까 걱정이다.”고 했으며, 포항시 관계자는 “현재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제한을 하고 있고 내년에도 방사능 측정기를 추가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포항테크노파크 관계자는 “세슘 등 방사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비체계를 구축하고 상시 모니터링할 장소를 정하여 체계적인 방사능 오염도 측정을 진행하겠다.”고 하였으며, 포항시민행동은 “방사능 검사는 시민들의 불안 심리를 잠재울 수 없다. 해류가 도는 게 오래 걸리더라도 몇 년 후에는 우리 수산물도 방사능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방사능 오염수 해양방류는 기정사실로 생각하는 게 맞다면 지자체가 대응하여 수산물 안전에 대한 검사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몇 년 후 방사능 검출이 사실화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어민들의 피해를 줄일 구체적인 대응방안에 대해 더 얘기해 봐야할 것이다.”라고 했다. 포항시의회 김영헌 시의원은 “방사능 오염수 해양방류 후 해양생물들의 변화가 인간의 삶과 어민의 생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 한다. 방류 후 수산물 안전을 위해 어떻게 대처할지, 제도나 예산이 필요하면 적극적으로 움직이겠다.”고 약속했다.   포항YMCA 정기석 사무총장은 “시민의 안전을 위하여 시민단체와 지자체 모두가 함께 고민해야 할 문제이다.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속적인 모임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에, 포항시민행동은 "방사능 오염수의 해양방류 반대운동과 아울러 민·관협의체를 구성하여 시민들에게 해양방류 전후의 정확한 방사능 확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국내·외 정보를 수집·조사하고 정기적인 모임을 통한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한편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방류 반대 포항시민행동’은 지난해 7월 21일 포항시청광장에서 일본 정부의 소극적이고 무책임한 대응에 분개하며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을 철회할 것을 강력히 요청코자 6개 시민단체(경북생명의숲, 포항녹색소비자연대, 포항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포항환경운동연합, 포항YMCA, 포항YWCA)가 연합하여 출범하였고 기자회견 및 규탄대회를 개최하고 지속적인 캠페인을 시내일원에 전개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