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종태기자]포항지진 책임기관으로 지목되어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지열발전부지 안전관리를 위한 신규지원 대상과제 수행 사업자 공모 참여에 관심을 나타내고 있어 포항시민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포항지역 지진피해 주민들은 “감사원 감사와 국무총리실 소속 포항지진진상조사위원회의 조사결과 넥스지오 컨소시엄 일원으로 참여하면서 지질 및 지진 관련 업무를 소홀히 한 나머지, 규모 5.4의 강진을 촉발시키는데 관련돼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기관이 안전관리사업의 신규과제 수행기관으로 참여할 자격이 없다”며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포항11.15촉발지진범시민대책위원회 공원식 공동위원장은 “촉발지진 발생과 관련된 기관으로 포항시민에게 엄청난 인적, 재산적 피해를 입힌 당사자가 지진의 사후대책으로 추진하는 지진안전종합센터를 맡아서 운영하겠다는 것은 그야말로 어불성설이다”며, “이들은 수사기관의 수사 대상이지 절대 포항시민을 위한 안전관리사업의 주체가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포항11.15지진지열발전공동연구단 양만재 부단장은 “지열발전 상용화 기술개발 과정에서 지열발전소 컨소시엄에 참여해 지진 관련 업무를 맡고도 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아 포항시민에게 엄청난 피해를 입히고도 현재까지 한마디 사과조차 하지 않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안전관리사업 수행기관에서 배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포항시도 지진 발생 당시 넥스지오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지열발전 상용화 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하면서 무리한 사업추진으로 규모 5.4의 강진을 촉발시켜 118명의 인명피해와 1조원에 가까운 직접적 재산피해를 발생시켰다며, 관련 기관에 지열발전부지 안전관리사업 수행자로 피해주민이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을 선정해 줄 것을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에 따르면 ‘포항 지열발전부지 안전관리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수행기관을 오는 10월 7일까지 모집한다.   이번 신규지원 대상과제 사업 수행자로 결정되는 기관은 200억원 이상의 예산으로 지열발전 실증부지 내 지진안전종합센터 건립을 비롯한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고도화, 재난예방교육, 기념공간 조성 등을 담당하게 된다. 응모자격은 지식재산 기본법 3조에 따른 공공연구기관이며, 지진연구와 지진안전관리, 재난예방교육, 건축 등 전문기관을 참여기관으로 둘 수 있다.   수행 사업자 선정절차는 사업계획서 제출, 평가 및 과제 확정, 협약체결과 정부출연금 지원 등의 순서로 진행될 예정이며, 지난 9월 14일 진행된 사전 사업설명회에 촉발지진의 책임기관으로 알려진 한국지질자원연구원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2019년부터 내년 5월말까지 5년 간 정부로부터 심부지진계, 지표지진계, 지하수위계 등을 설치해 운영하는 등의 지열발전부지의 안전관리사업을 위탁받아 수행하고 있는 대한지질학회는 안식년으로 캐나다에 체류 중인 강태섭 부경대 교수의 후임으로 김광희 부산대 교수를 임명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