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는 삶의 양식이며 삶은 특정한 시간과 공간의 연속성 위에서 펼쳐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화는 각 나라와 민족마다 삶의 양식이 다를 수밖에 없다. 지구촌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도 전통문화의 중요성이 요구된다. 전통문화를 잃게 되면 민족의 생존 자체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삶의 의미마저 상실하게 되기 때문이다.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이 `탈난 세상, 영웅의 귀환`이라는 주제로 29일부터 10월3일까지 닷새간 안동 원도심(옛 안동역 앞) 일대에서 열린다.개최 25년 만에 `거리형 축제`로 열리는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원도심이 가지는 상징성과 역사성을 회복하고 지역 상권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도심에서 개최했으며 축제 기간을 5일로 단축했다.원도심 지역인 옛 안동역 일대를 주무대로 이용하기 위해 300미터에 달하는 왕복 6차선 도로(홈플러스~옛 기차역)는 축제 이틀 전부터 전면 통제한다.안동 홈플러스 앞에 특설 축제장을 조성하고, 개·폐막식, 탈놀이 대동난장,마스크 EDM 파티, 세계탈놀이경연대회 단체부 등 주요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축제 시작일인 29일에는 시민들과 함께하는 EDM 마스크 난장 등이 전야제 하이라이트로 펼쳐진다.30일 시민 영웅을 테마로 주제공연과 개막식을 본격적인 시작으로 10.1~3일 개천절로 이어지는 황금연휴에 다양한 공연, 전시, 체험 프로그램들이 진행된다.모디 684 광장 내 탈춤공연장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 13개 탈춤, 외국공연단, 마당극, 인형극 등 축제기간에 현장발권을 통해 유료프로그램으로 운영된다.문화의 거리 무대에서는 세계탈놀이경연대회 개인부, 마스크버스킹대회 등 공연프로그램들이 진행된다. 또한 무대 뒤편 일방통행로 일부 구간을 통제해 탈 전시회, 플리마켓, 상가 자율매대가 운영된다.하회마을에서는 하회별신굿탈놀이 공연이 하회마을 전수교육관에서 매일 2시~3시에 진행된다.웅부공원과 문화공원에서는 제49회 안동 민속축제가 함께 개최돼 안동의 우수한 전통민속문화도 시연되고, 안동 원도심 내 각 시장에서도 버스킹 공연이 진행된다. 시민들과 관광객들의 편의를 위해 축제 기간 무료 셔틀버스가 운행된다.안동시장은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에는 도심 전체가 역동적으로 참여해 시민과 상인이 주도하고 관광객이 어우러지는 장을 펼쳐내는 완전히 새로운 도전과 혁신으로 더 큰 축제의 도약을 이뤄내겠다"고 말했다.전통문화는 현실 속에서 새롭게 재창조 되었을 때 생명력을 지니고 힘을 발휘한다. 전통의 본질을 계승하면서도 전통을 새로운 시대에 맞게 변용되는 안동국제페스티벌에 100만 관광객이 와서 즐길 수 있는 세계인의 축제로 발전하길 기대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