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고(高)현상이 계속되고 있지만 월급은 오르지 않고 공공요금만이 줄줄이 오르면서 서민가계의 주름이 깊어지고 있다. 10월부터 전기와 가스요금이 당초 예정된 인상분보다 더 큰 폭으로 오를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면서 서민들의 근심이 더 늘고 있는 것이다. 전기와 가스 등 사용량이 많아지는 겨울이면 서민가계의 공공요금 인상은 부담을 줄 수밖에 없어 벌써부터 한숨을 짓고 있는 것이다. 공공요금 인상은 ‘러시아발 가스 대란’이 전 세계를 강타하면서 시작됐다. 지난 25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액화천연가스(LNG) 연료비 단가는 킬로와트시(㎾h)당 249.25원으로 1년 전(103.49원)보다 2배 이상 높아졌다.유류 390.49원(97.8%↑), 유연탄 129.39원(113.5%↑) 등 원자력을 제외한 모든 발전원의 연료비 단가가 크게 오르면서 연료비 상승이 전기요금 인상 압박으로 이어지고 있다.한국전력이 발전사로부터 전력을 사올 때 적용되는 전력도매가격(SMP)은 지난달 ㎾h당 197.74원으로 1년 전보다 103.67원(110.2%) 상승했다. 그러나 지난 1년간 전기요금은 지난해 4분기 ㎾h당 3원, 올해 들어 11.9원 올라 총 14.9원 인상에 그쳤다.정부도 천연가스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의 급등에 한전과 가스공사의 연료비 부담이 커지면서 제도 개편을 통해 공공요금 추가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일단 한국전력의 재정 상황과 국민 부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올해 4분기에 앞서 예고한 대로 기준연료비를 ㎾h당 4.9원 올리고, 연료비 조정단가 등의 추가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가 물가 상승 등을 우려해 요금 인상을 억누르는 상황이 지속되면 오히려 한전의 적자 상황이 갈수록 심각해 질 수 있다. 전문가들도 천연가스 현물 가격이 70달러 정도로 2020년 대비 10배 이상 올랐는데, 지금 가격을 올리지 않으면 “장기적으로는 전기, 열, 가스가 물가 당국에 주는 부담을 더 키우게 된다”고 지적하고 있다.상황이 이렇기에 가스·석탄·석유 가격이 모두 오른 상태에서 “현재 상황에서는 전기료를 안 올릴 수 없다. 전기요금을 올리지 않을 경우 한전의 적자가 심각해 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자체들은 내년 상반기까지 공공요금 동결 기조를 유지키로 한다지만 정부가 공공요금 인상을 결정할 경우 인상을 막을 뾰쪽한 대안이 없다는 게 문제다. 하지만 어려움을 겪을 서민층을 돕기 위해 전기·가스요금 등 공공요금 한시적 동결 또는 인상 최소화 대책 등 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적극적으로 찾아야 한다. 아울러 에너지 절약을 위한 아이디어 발굴은 물론 다양한 인센티브를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