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사랑기부제`가 내년 1월부터 본격 시행된다. 정부는 최근 국무회의를 열고 시행령을 의결했다. ‘고향사랑기부제’는 개인이 자신의 주소지가 아닌 고향 등 다른 지방자치단체에 기부를 하면, 해당 지방자치단체는 기부금을 모아 그 지역의 주민 복리증진(福利增進)을 위해 사용하는 제도이다. 기부 한도는 연간 최대 500만원이다. 지방자치단체는 기부액의 최대 30%에 상당하는 답례품(答禮品)을 제공할 수 있다. 농촌 지자체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만큼 각 시군과 지역주민들의 기대가 매우 크다.그러나 본 제도의 취지와 홍보가 제대로 이루어져야 기부금이 모일 수 있다. 따라서 무엇보다 국민들에게 이 제도를 널리 알리는 것이 최대 급선무(急先務)이다. 상주시에서는 고향사랑기금 설치를 위한 행정적인 준비 절차와 병행해 은척 성주봉자연휴양림과 경천대, 상주박물관, 낙동강 오토 캠핑장 등 지역 내 주요 관광시설을 활용해 외지 휴양객과 관광객 등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펼치고 있다.특히 코로나19 단계적 일상회복 후 처음 맞는 지난 秋夕 名節은 외지에 거주하는 지역민의 자녀와 친지들이 많이 방문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고향사랑기부제를 널리 알리기 위해 희망상주와 굿모닝상주 등 소식지와 옥외 전광판과 재산세 고지서, 리플릿, 현수막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 홍보 활동에 열과성을 다했다.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지난 4월 만 19세 이상 일반 국민 1천명을 대상으로, 고향사랑기부제 관련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84.8%가 `모른다`고 답했다고 한다. 또한 기부금을 낼 의향(意向)이 있다는 응답자가 38.7%로 집계된 것은 무척 다행한 일이다.정부와 경북도, 각 시·군은 이 제도의 장점(長點)과 혜택(惠澤)을 집중 홍보하는 데 온힘을 쏟아야 한다. 기부(寄附)가 늘어나야 지역사회 활성화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제도의 시행까지는 시간도 별로 없다. 고향사랑기부제를 먼저 시행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방세입 증대에 큰 성과를 내고 있는 日本은 지역특산품 외에 체험형 답례품도 있고, 크라우드 펀딩도 하고 있다고 한다. 日本 사례를 보면서 기부금 유치와 답례품을 둘러싼 지자체 간 과열 경쟁도 우려하지 않을수 없다. 세금 감면과 답례품이 기부금(寄附金)보다 많아지는 경우와 이런 데서도 지자체 간 격차(隔差)가 생길지 모른다는 성급한 진단(診斷)도 하고 있다.출향(出鄕) 인사들의 선의(善意)에 기대는, 고향사랑기부제는 작은 출발일 뿐이다. 저출산, 고령화 등으로 지방 소멸(消滅)의 위기를 타개(打開)하려면 갈길은 매우 힘들고 어렵다. 수도권 기업의 지방 이전 유도를 위해 가능한 인센티브를 최대한 동원하고, 지자체와 의회가 기업 유치를 위해서라면 서로 머리를 맞대고, 두발 벗고 나서서 특급(特級) 세일즈를 펼쳐도 쉽지 않을 것이다. 그래도 꼭 앞으로 나가야만 할 길이다. 고향사랑기부제가 지방 소멸에 대한 해결책(解決策)은 될 수 없겠지만, 지자체가 지역발전 역량(力量)을 키울 수 있는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지역민 모두가 함께 힘을 모아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