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역내에서 7월 말 90대 할아버지께서 식사 중 기도폐쇄로 의식이 없다는 구급 출동이 있었다.  다행히 직원이 하임리히법 등 응급처치를 시행해 상태는 호전됐다고 한다.현재 봉화군민 30413명 중 65세 이상이 11926명으로서 지역 인구의 노령화에 따라 어르신들의 응급상황 또한 많이 발생하고 있다.특히 어르신들의 경우 저작기능(씹는 운동) 약화, 반사기능 약화 등으로 사탕, 고기, 땅콩, 떡 등을 삼키다가 목에 걸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이 경우 이물질로 기도가 막혀 숨을 쉬지 못해 생사의 갈림길에 서 있는 사람을 단 몇 초의 응급처치로 살릴 수 있다면 여러분은 어떻게 할 것인가?   내 가족 혹은 지인을 살리기 위해 노력하겠지만 방법을 모른다면 식은땀을 흘리며 구급대가 오기만을 기다릴 것이다.이 기고를 통해 구급대가 오기 전에 여러분의 손으로 기도폐쇄 환자를 살릴 수 있기를 바라며, 기도폐쇄 시 응급처치 방법을 안내하고자 한다.기도가 막히면 환자는 두 손으로 목을 부여잡으며 괴로워하고, 호흡이 힘들어지면서 입술 주위에서는 청색증이 나타날 것이다. 그렇다면 기도폐쇄로 판단하고 우선 119에 신고한다. 환자가 기침하며 말을 할 수 있는 기도폐쇄 시에는 환자에게 다가가 기침을 계속 유도한다. △등 두드리기 5회 △복부 밀어내기 5회. 그러나 상태가 지속되거나 기침이 없어진다면 혹은 처음부터 기침이 없었다면, 2020년 한국형 가이드라인 변경 전까지만 해도 완전 기도폐쇄 발생시 복부 밀어내기를 먼저 시도했으나, 현재 가이드라인이 변경되어 등 두드리기 5회 후 복부 밀어내기(하임리히법) 5회를 이물질이 나올때까지 반복하여 시행한다.복부 밀어내기(하임리히법)은 △우선 환자의 등 뒤에 서서 한 손을 주먹 쥐어 환자의 배꼽과 명치 중간에 갖다 놓는다. △임산부나 심한 비만 환자의 경우 가슴에 놓는다. △다른 한 손으로 주먹을 감싸며 한 다리는 환자 다리 사이로 다른 다리는 자신의 뒤쪽으로 놓아 중심을 유지한다. △강하게 힘을 주어 환자의 배를 안쪽으로 누르면서 환자의 아래 에서 위로 당겨준다. △이물질이 제거되거나 구급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등 두드리기 5회, 복부 밀어내기 5회를 반복해야 한다. △구급대 도착 전 환자가 의식을 잃으면 119상황요원의 진행에 따라 심폐소생술을 진행한다. 기도폐쇄 시 당황하지 않고 대처방법을 숙지하여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내 가족 내 이웃의 소중한 생명을 지킬 수 있기를 바랍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