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이태헌기자]文정부 기간 동안 단기일자리 사업이 늘어난 가운데, 대표적 단기일자리인 재택모니터링 사업이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김승수 국회의원(국민의힘·대구북구을)이 한국저작권보호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재택근로자별 시정권고 모니터링 실적 및 임금지급’ 자료에 따르면, 개인별 모니터링 실적이 1건에서 1만6410건으로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별 실적을 실제 지급받은 임금액과 대비해 ‘개인별 모니터링 적발 1건당 임금 지급액’을 산출하면, 1건 당 최대 892만원에서 509원까지 편차가 크게 발생한다. 모니터링 1건 당 인건비를 가장 많이 수령한 근로자는 2018년 1건을 적발하고 892만5840원을 수령했으며, 이는 2018년 시정권고 모니터링 근로자 중 가장 높은 인건비 지급액이다. 이 외에도 근로자는 2020년 1건을 적발하고 827만3030원을 수령했으며, 근로자는 2018년 1건을 적발하고 752만4610원을 수령했다. 반면, 모니터링 1건 당 가장 낮은 인건비를 수령한 근로자D로 2018년 1만6410건을 적발하고 834만5140원을 수령해 1건 당 509원을 지급받았다. 근로자E는 2018년 1만4333건을 적발하고 834만5140원을 수령해 1건 당 582원, 근로자F는 2020년 344건을 적발하고 26만7405원을 수령해 1건당 777원을 지급받았다. 한국저작권보호원의 시정권고 모니터링 사업은 경력단절여성, 다문화, 차상위, 장애인 등이 재택근무하며 저작권 위반 게시물을 적발하는 1년 미만의 단기일자리 사업이다. 해당 사업은 2017년 252명(정원 기준)이 참여해 49만3240건의 저작권 위반 모니터링 실적을 거둔 후, 2018년 262명이 37만1516건 적발, 2019년 299명이 34만4633건 적발, 2020년 302명이 33만8154건 적발, 2021년 303명이 29만9013건 적발, 2022년(~6월) 318명이 17만8925건을 적발하는 등 매년 인원이 증가함에도 실적이 저조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재택모니터링 인원의 실적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배경에는 사업 시행기관인 한국저작권보호원이 개인별 실적을 전혀 관리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저작권보호원은 2019년 모니터링 재택 근로자 운영 매뉴얼을 개정해 ‘업무 수행 실적이 현저히 저조한 때’ 경고조치를 할 수 있도록 했으나, 현재까지 저조한 실적을 사유로 경고조치를 내린 사례는 한 번도 없다. 오히려 약 2달 간 장기간 해외체류로 결근하거나, 지각을 29차례나 반복한 경우에나 한 차례 경고하는 등 제재조치가 지나치게 관대한 경우가 많았다. 개인별 실적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탓에 이전 재택모니터링 사업 참여 시 실적이 낮았던 근로자가 재참여한 경우도 발생했다. 이와 관련 김승수 의원은 “세계적인 한류 열풍으로 K-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침해가 매년 늘어나고 있는데 재택모니터링 근로에 대한 실적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 매년 사업성과가 떨어지고 있다”며 “체계적인 실적 관리시스템을 마련해서 보다 효과적인 재택모니터링 근로와 저작권 보호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