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권호경기자]대통령 소속 위원회 20개 중 13개가 정비된다.대통령실은 `유연하고 효율적인 정부체계 구축` 추진의 일환으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정부위원회 정비 방안을 7일 발표했다.임상준 국정과제비서관은 7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부실하게 운영되는 식물위원회는 폐지하고, 유사·중복위원회는 통·폐합하고, 자문단 등 비상설 협의체로 기능 수행이 가능한 위원회는 대체하는 3대 기준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명박 정부에서 530개였던 정부위원회가 박근혜 정부에서 558개로, 문재인 정부에서 637개로 늘어나면서 정비의 필요성이 제기됐다는 임 비서관의 설명이다.이러한 기준에 따라 지난 2개월간 민관합동진단반에서 정부 내 모든 위원회를 전수 점검했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정비 방안을 확정했다.총 636개에 이르는 정부위원회 중 39%인 246개는 폐지·통합된다. 대통령 소속 위원회는 지난 5월30일에 신설된 국민통합위원회를 제외한 기존의 20개 중 13개가 정비된다.국가교육회의, 4차산업혁명위원회, 북방경제협력위원회,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 국가인적자원위원회는 폐지된다.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소재부품장비경쟁력강화위원회, 국가물관리위원회, 아시아문화중심도시위원회는 총리 소속으로 변경된다.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국가건축정책위원회,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는 부처 소속으로 변경된다.자치분권위원회와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지방시대위원회’로 통합한다. 국회에 제출되는 법안이 통과되기 전까지는 현행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두 위원회 업무를 통합하여 수행하게 된다.저출산·고령화사회위원회, 경제사회노동위원회, 규제개혁위원회, 국가우주위원회,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는 현행대로 대통령 소속 위원회로 유지된다. 다만 향후 시대 상황에 맞게 기능과 거버넌스를 보완·개편할 계획이다.국무총리 소속 위원회는 61개 중 34%인 21개를 정비하고, 부처 소속 554개 위원회는 41%인 227개를 통폐합 정비한다.향후 위원회가 남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원회 신설시 5년 이하의 존속 기한을 규정하는 `행정기관위원회법` 개정안도 국회로 제출된다. 위원회 정비방안은 이날 입법예고, 이달 말 국무회의를 거쳐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다.대통령실 관계자는 "300억원 이상 비용이 절감될 거로 추산된다"며 "인력은 100명 정도 감축됐고, 250명 이상이 재조정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