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파괴의 심각성을 일깨워 발간 즉시 세계적 베스트셀러가 됐던 `성장의 한계`가 30년 만에 재출간된다.
1972년 로마클럽의 연구 결과로 발표된 `성장의 한계`는 인류의 멈출 줄 모르는 경제성장이 지구 생태계에 파멸을 불러올 것이라고 경고해 전 세계 독자를 충격에 빠트렸다.
1992년 2판이 나온 이후 올해 초판 발행 30주년을 맞아 세 번째 버전으로 새로 단장해 출간됐다.
이번에 나온 3판에서는 `생태 발자국 지수`를 새로 도입해 지구 환경이 처한 위기를 진단함으로써 생태계를 지속 가능한 영역으로 되돌려야 한다는 초판의 메시지에 힘을 보탠다.
책에서는 지난 30년간 긍정적인 발전이 없지 않았다고 평가한다.
소비자들의 구매 습관이 변했고 각국에서도 환경 문제를 전담하는 정부 부처가 속속 들어섰다는 것.
특히 성층권의 오존층 파괴에 대해 국제적 관심이 촉발돼 공동 대응이 이뤄졌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지구가 이미 수용 한계를 넘어서 지속 불가능한 영역에 진입했다는 데 사태의 심각성이 여전히 남아있다.
책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에 대한 오해를 불식시키는 데 적지 않은 지면을 할애한 것도 이러한 점 때문.
지속 가능한 성장을 `제로 성장`으로 치부하지 말고, 지구촌 극빈층의 소비 수준을 증가시키면서도 인류 전체가 환경에 주는 부담은 줄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게 저자들의 지적이다.
이들은 화석 연료를 줄이고, 오염 배출을 제한하는 등 지구를 살리는 모든 행위가 "결국 농부들에게 적절한 대가로 되돌아갈 것"이라고 전망했지만 "인간의 정치적 의지가 매우 부족했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구체적 행동 양식으로 꿈꾸기, 네트워크 만들기, 진실 말하기, 배우기, 사랑하기 등 5가지를 꼽고 "처음에 아무리 작은 집단의 사람들이라도 이 도구들을 지속적으로 일관되게 사용한다면 어떠한 큰 변화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도넬라 H. 메도즈 등 지음. 김병순 옮김. 갈라파고스 펴냄. 488쪽. 2만3천원.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