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박세명기자]의성군이 지난달 국가지질공원 인증후보지로 선정된 의성지질공원 제오리 공룡발자국과 만천리아기공룡발자국이 국제학술지인 역사생물학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군애 따르면 제오리 공룡발자국은 지난 1989년 산사태로 인해 처음 노출되면서 1994년에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로는 국내 최초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는 것이다.또한, 만천리 아기공룡발자국은 지난 2005년도 처음 알려졌지만 2008년 세계척추고생물학회에서 아기용각류(목긴 초식공룡) 발자국임을 국제적으로 소개됐다는 것. 이에 따라 군은 2021년 제오리 공룡발자국과 만천리 아기공룡발자국 가치규명 발굴을 위해 진주교육대학교부설 한국지질유산연구소에 학술연구용역을 의뢰했었다.국제학술지에 발표되어 게재된 논문은 한국의 의성지질공원 사곡층에서 산출된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들의 역사적·고생물학적 견해를 국제 공동 연구로 진행됐다.연구를 통한 제오리 공룡발자국은 용각류(목긴 초식공룡), 수각류(육식공룡),두 발로 걷는 조각류(초식공룡)발자국 등 총 384개의 발자국과 35개보행렬이 확인됐다. 35개의 보행렬 중 용각류(목 긴 초식공룡) 보행렬은 19개로 54%를 차지했고 40%인 14개 보행렬은 중간 크기의 두 발로 걷는 조각류(초식공룡)의 것으로 확인됐다. 또, 만천리 아기공룡발자국은 7개의 발자국 화석층과 용각류, 수각류 등 두 발, 네 발로걷는 조각류 발자국 등 총 126개 공룡발자국과 8개의 보행렬도 확인됐다. 특히, 아기공룡 발자국인 2개의 보행렬은 용각류(목 긴 초식공룡) 발자국이 아닌 네발로 걷는 조각류(초식공룡) 공룡 발자국인 캐리리이크니움으로 밝혀 졌다는 것 여기에다 아기공룡은 두 발에서 네발로 걸었다는 것이 이번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결과로 손꼽히면서 네발로 걸어가는 모습으로 변화되는 영상도 관찰할 수 있다. 그중 한 마리는 네발로 걸음걸이를 바꾸기 전 두 발로 모우거나 지금까지 보고된 공룡 보행렬 중 걸어가다가 정지한 모습 등은 매우 희귀한 사례로도 볼수 있다. 만천리에서 걸음걸이에 변화를 보여주는 아기공룡들의 이동속도는 1.12 m/s와 0.68 m/s로 계산된 가운데 시속으로 전환하면, 4.03 km/h와 2.45 km/h에 해당한다. 아기공룡발자국지질명소 현장(금성면 만천리 산129-1)은 당초 30도에 이른 가파른 경사를 목재데크, 보행매트로 설치해 안전하고 편리한 탐방이 가능하게됐다.이밖에 아기공룡발자국, 제오리 공룡발자국등 공룡화석은 내년 3월 26일까지 조문 국박물관에서 진행 중인 중생대 화석 특별기획전 복제품으로 만나볼 수 있다. 김경수 전주대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세계적으로 희귀한 공룡 걸음걸이를 연구하고 공룡의 행동 양식을 규명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 큰 행운이었다"고 말했다. 김주수 군수는 "지질명소 현장해설표지판, 탐방편의시설확충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주민, 탐방객들에게 관광,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노력 하겠다"고 전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