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종태기자]포항시 퇴직 공무원들이 시(市)산하 기관장에 자리를 독차지하면서 비난여론이 일고 있는 가운데, 포항시가 추진하고 있는 사업에도 퇴직 공무원들이 버젓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어 비판수위가 높아지고 있다.포항시는 오는 2025년까지 70억원을 들여 농식품 자원 활용으로 농촌을 활성화시키기위해 농촌신활력플러스사업을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하지만 농촌신활력플러스사업 추진 단장 및 사무국장에 퇴직 공무원들이 자리를 꿰차고 있어 비판이 일고 있다. 추진단장에는 전 포항시 농업기술센터소장 출신 A모씨가 맡고 있고,사무국장에는 전 농기센터 팀장 출신 B모씨가 채용됐다.단장에 이어 사무국장까지 포항시 퇴직 공무원들이 독차지하자, 사업주관 부서인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퇴직 공무원 채용은 문제가 있어 차후 배제하라”는 지적을 받았다.더구나 사업이 준비단계에 있어 지급되는 인건비는 모두 시민혈세로 지원되고 있는 실정이라 지역민으로부터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시는 이 사업을 통해 농촌에 활력을 부여하고 인적 역량을 구축한다지만, 최근 농림식품부로부터 ‘포항시 퇴직 공무원 채용 문제’로 지적을 받으면서 사업이 시작단계부터 삐걱거라고 있다.시 관계자는 “사무국장 공개채용에는 B씨가 단독으로 신청해서 부득이 포항시 공무원 출신을 채용할 수밖에 없었다”고 해명했다.이 뿐만 아니라 포항시 톼직 공무원들은 도시재생사업에도 눈독을 들여 전직 읍장 출신 C모씨, 과장 출신 D모씨 등이 현장지원센터장에 나란히 이름을 올리면서 빈축을 사고 있다.뿐만아니라 포항시 전직 국장 출신 E모씨가 포항시도시재생센터장으로 2년간 근무한 이력이 있어 퇴직 공무원들의 자리 차지가 도를 넘고 있다.이처럼 각종 사업에 시 퇴직 공무원들로 넘쳐나자, ‘퇴직자 자리 보전’ 이라는 비난이 들끓고 있다. 포항시민단체연대회의 박충일 집행위원장은 “포항시 산하기관 및 사업에 퇴직 공무원들이 대거 기용되는 것은 이해충돌방지법에 위배되고, 전형적인 보은 인사이다”며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는 자리에 전문성이 부족한 퇴직 공무원을 임명하는 관행은 반드시 뿌리 뽑아야 한다”고 말했다.15년째 음식점을 운영하고 있는 이모(54)씨는 “코로나 위기로 시민들은 생계가 어려워 일자리 구하는데 갖은 애를 먹고 있다”며 “수십 년간 간부 공무원으로 근무한 것만 해도 영예로운 일인데, 은퇴 후 또다시 포항시 현안 사업에까지 퇴직 공무원들이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지나친욕심이다. 이는 시가 시민들에게 일자리를 만들어 주는 것이 아니라 일자리를 뺏는 행위이다”고 분개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