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는 송나라 때의 대학자이며, 1130-1200년경에 살았다. 유교를 학문적ㆍ철학적으로 체계화하였고, 특히 [예기]에 속해있던 [대학]을 따로 떼어 분류하였다. [대학]은 진시황 이후 한나라 때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학’이란 말에는 세 가지의 의미가 담겨있다.첫째, 학교의 이름. 고대 중국의 귀족아이들은 8세가 되면 소학(小學)에 들어갔다. 소학을 마치고 15세가 되면 엘리트수업을 받는데 이 코스가 바로 대학이다.둘째, 책 이름. 바로 4서 중의 한 권인 [대학]이다. 본래 [예기]속에 있었으나 주자에 의해 단행본으로 분류. 공자의 제자인 증자가 지었다는 설이 있으나 사실은 작자를 알 수 없다.셋째. 학문의 범주. 엘리트들을 가르치기 위한 학교에서 교재로 채택했으니 학문의 목적과 내용이 특이할 수밖에 없다. 특히 [대학]은 엘리트들의 학문하는 자세와 세상을 읽는 기본방법을 담고 있어 ‘커다란 학문의 세계’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대학은 주자가 경(經) 1장, 전(傳) 10장으로 구별하여 주석을 가하고이를 경전으로 받들면서부터 널리 세상에 퍼졌다.[3綱 8條의 대학 綱領]大學은 大人之學이다. 고전 가운데 나라를 통치하는 원칙을 담은 책이 大學이다.첫째 문장 : 大學之道는 在明明德하며 在親(新)民하며 在止於至善이니라.대학의 도는 명덕을 밝히는데 있으며, 백성을 새롭게 하는데 있으며, 지극히 善한 곳에 머무르게 하는데 있다.나라 통치하는 그 첫 번째가 백성에게 밝은 덕을 갖게 하는데 있다. 올바른 가치관을 갖게 한다.두 번째가 백성을 새롭게 좋은 쪽으로 변화하는 데 있다.세 번째가 지극히 좋은 여건 속에서 편안하게 살게 하여야 한다.이것이 정치의 목표이고 나라 통치의 기본이다. 그렇게 다스리기 위해서는 지도자는 자질을 갖추어야 한다.그래서 3綱이 있으니, 1. 明明德. 2. 親(新)民. 3.至於至善. 명덕을 밝게 하여야 하며, 백성을 새롭게 변화 시켜야 하며, 지극히 善한 여건을 만들어 놓고 거기서 머무르게 해야 한다.지도자의 자격요건으로는 1,格物. 2.致知. 3.誠意. 4.正心. 5.修身. 6.齊家. 7.治國. 8.平天下. 지식을 갖추기 위해서는 格物, 사물에 이르러 봐야 하고, 그런 후에 지식을 이루게 되며, 성실하게 열심히 공부해야 하며, 다음으로 마음가짐을 올바르게 한 후 자신의 몸을 수신하며, 그 다음은 집을 가지런히 다스리고, 한 나라를 다스리고, 마지막으로 천하를 태평하게 다스리는 것이 통치이념이다.정치의 기본이 갖추어지고, 그 바탕 위에 자신의 역량을 다하여 백성으로 하여금 안정되고 잘 살도록 하여 善한 삶을 살아가게 하는 것이 정치하는 원칙이다.재판을 좋아하는 사람과 친구하지 말라子曰, 聽訟, 吾猶人也, 必也使無訟乎!자왈, 청송, 오유인야, 필야사무송호!공자는 이렇게 말했다. “송사를 듣고 판단하는 일은 나도 남에게 뒤지지 않는다. 하지만 송사 같은 일은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無情者, 不得盡其辭, 大畏民志무정자, 부득진기사, 대외민지실제가 없어 마음이 떳떳하지 못한 사람은 횡설수설하여 그 말에 설득력이 없다. 주변의 많은 사람들의 생각을 무서워하기 때문이다.此謂知本차위지본
이것을 두고 ‘근본을 아는 것’이라고 하는 것이다.(일을 풀어나가는 데 있어서 사람을 읽는 일, 이것은 바로 뿌리를 이해하는 과정과 같다.)